주민의 생명과 직결된 가스충전소를 관리하랬더니 그들의 편의 봐주면서 뇌물을 받아 챙긴 인천시 부평구청 소속 공무원이 경찰에 적발됐다. 그것도 팀장급으로 10년 넘게 2억원 상당의 금품과 향응을 받았다고 하니 충격적이다. 비록 적발된 숫자는 1명이지만 비리를 저지른 공무원이 한자리에 18년 넘게 있었던 점과 그 기간 동안 뇌물을 정기적으로 상납 받은 것으로 보아 윗선과의 연관성도 의심을 받기에 충분하다. 뇌물수수 방법을 보면 직업이 무엇인지 헷갈릴 정도다. 다른 명의로 된 휴대전화는 기본이고 그 전화를 통해 명절 때는 물론 수시로 LPG 판매 및 충전소업자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금품을 챙겼는데 이런 식이라면 본분인 에너지 관리 업무는 뒷전이고 뇌물 받는 데 심혈을 기울였을 게 뻔하다. 경찰이 상급 간부에게도 뇌물 상납이 이뤄진 것으로 보고 수사 중인 것도 이 때문일 게다.
우리주변엔 언제 어디서 가스폭발사고가 날지 항상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인천지역만 하더라고 10여년 전 다세대주택에서 LP가스가 폭발해 3층짜리 건물이 무너졌다. 이 사고로 구김살 없이 놀던 어린이 2명 등 6명이 숨진 것을 비롯 지금까지 크고 작은 사고만 10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인허가를 강화하고 판매업소의 관리를 중점적으로 펼치는 것이다. 특히 무허가 가스판매업소에 대해선 강한 단속과 제재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공정한 업무를 펼쳐야할 공무원이 오히려 이를 빌미로 금품을 챙겼다는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꼴이나 다름없다. 이런 측면에서 관리자도 책임을 면키 어렵다. 더욱이 한국가스안전공사 인천본부직원은 특별단속정보까지 흘렸다고 하니 가스안전공사 감독관리자에게 또 다른 책임을 물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욱 허탈하게 하는 것은 유통기한이 지난 가스통을 유통토록 하고 돈을 받았다는 것이다. 가스통은 안전성을 가름하는 척도다. 그동안 일어난 가스폭발 사고의 원인이 낡은 용기와 연결호스의 불량으로 인한 것이어서 더욱 그렇다.
직무와 관련 터져 나오는 공무원비리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생명의 안전을 담보로까지 뇌물수수가 이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의 공직자들이 선진화되기엔 한참 멀었다. 공무원들이 뇌물을 받고 제 할 일을 하지 않는다면 부정부패가 만연한 후진국들과 다를 게 없다. 인천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부평구뿐만 아니라 인천 관내 타 지역도 점검에 나서 직원들의 비리근절 대책을 다시 한번 확립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