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지난달 14∼15일 1차 경고파업에 이어 29일 2차 파업에 들어가면서 경기도내 7개 학교를 비롯해 전국 159곳에서 또 다시 급식에 차질을 빚었다.
특히 인천지역 ‘학교 비정규직연대회의’가 인천시교육청이 호봉제 요구를 수용하지 않으면 오는 13일 총파업 돌입을 공언한데다 경기지부 등도 3일부터 교섭을 벌여 6일 이후 총파업 등을 결정하겠다고 밝혀 전면적인 급식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고 있다.
1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초등학교 31곳, 중학교 3곳, 고등학교 9곳 등 총 43곳에서 학교비정규직연대회 경기지부 소속 조합원 132명이 2차 파업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파업으로 수원 지동초등학교 등 4곳은 빵과 우유 등의 간편식을 제공했고, 2개 학교는 외부업체 도시락 제공, 1개 학교는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갖고 오도록 하는 등 7개 학교(초교 3곳, 고교 4곳)에서 급식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도교육청은 부분파업 조합원 대다수가 사서와 과학보조교사 등이 주축이 된 여성노조 소속인 탓에 1차 경고파업 때보다 급식차질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경기지부는 지난달 14∼15일 이틀에 걸쳐 급식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은 전국회계직연합(전회련) 학교비정규직 본부가 주로 파업에 참여하면서 14일 80곳, 15일 61곳에서 급식이 대체됐다.
이들은 작년에도 총파업에 들어가 도내 564개(28.4%) 학교에서 차질운영이 발생했으며 403곳서 도시락 지참, 빵이나 우유 대체, 단축수업 등 급식운영에 차질이 생겼다.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 관계자는 “지난달 파업 찬반 투표에 따라 언제든지 파업에 돌입할 수 있는 상태”라며 “아직 결정된 것은 없지만 내달 3일 교섭 결과에 따라 6일 이후 총파업 등도 장담할 수 없다”고 했다.
또 인천지부는 지난달 29일 비정규직 총파업 선포대회를 열고 “호봉제, 고용 주체를 교장에서 교육감으로 전환 등 자신들의 요구 사항을 전혀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있다”며 “오는 13일까지 변화가 없으면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지부가 13일 총파업에 돌입하면 인천지역에서는 일부 급식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수용 가능한 요구 사항은 적극적으로 협의해 수용하겠지만, 임금 문제 등은 교육부 지침이 정해져야 하기 때문에 교육청에서 판단할수 없다”며 “비정규직 문제를 논의하는 전국학교비정규직 실무자협의회를 통해 해결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