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오산대학교가 오산대역 전철 명칭 확정 당시 시와 협약했던 어린이집 건립·운영을 10여년 동안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본보 9월26일 9면 보도)을 받고도 현재까지 답보상태에 있어 오산시가 대학 배만 불려주고 있다는 비난이다.
역사명칭을 둘러싼 논란은 지난 민선2기부터 시작돼 현 민선5기까지 해결이 안 되고 있다.
당시 오산대와 오산시가 맺은 협약내용을 준수하도록 공인인증까지 받은 상태에서 1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17일 오산시와 오산대에 따르면 2002년 오산대역 명칭 확정 당시 오산대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보육시설인 어린이집 및 문화센터(부지면적 661㎡·연면적 743㎡·3층 건물)를 건립해 운영한다는 협약을 맺었지만, 갖가지 이유로 행정추진을 유보하며 대책을 수립 중이라는 대답만 되풀이 하고 있다.
오산대는 지난 10여년 동안 협약내용을 지키지 않은 채 역사명을 통해 막대한 홍보효과를 거두고 있다.
시는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대학 측과 의견 충돌만 빚었고, 결국 새롭게 내리려는 결정도 대학 측에 유리하게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시민 신모(45·여·궐동)씨는 “전철역에 학교이름을 붙이기 위해 온갖 조건을 내걸고 주민들에게 사탕발림식의 약속을 하더니 이제는 핑계만 일삼으며 주민들을 기만하고 있다”며 “학생을 지도하는 대학으로서 남부끄러운 일”이라고 꼬집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꾸준히 협약내용 준수를 대학 측에 요구하고 있다”며 “이번 계기를 통해 협약에 대한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을 경우 법률자문 등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대학 측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산대학 관계자는 “조만간 부지매입과 건축비 등 투지비용이 발생됨에 따라 총장과 이사장의 결재를 진행 중”이라며 “결론이 나면 계획서를 시에 보내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