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정비구역 내 폐·공가가 증가함에 따라 폐·공가 철거와 활용을 위한 ‘폐·공가 종합관리 대책’을 마련해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19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폐·공가 실태조사결과 인천지역 폐·공가 1천454동 중 정비사업구역 내 폐·공가는 1천21동으로 전체 폐·공가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부동산경기 침체로 정비사업이 지연되면서 폐·공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붕괴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범죄 등에 이용될 가능성도 있고 각종 쓰레기 적치로 인해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등 주민들이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재개발구역 등 정비구역 내 폐·공가의 경우 조합 및 토지등소유자의 미온적인 대처로 사실상 방치돼 왔으나 시는 안전사고 우려와 방범부재 및 거주자의 생활안전 등을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시는 지난달 9일 폐·공가 관리와 철거를 위한 사업비를 중구를 비롯한 4개 구에 우선 교부하고 폐·공가 97개동에 대해 6월 말까지 정비를 완료할 예정이다.
또 추경예산에 필요예산을 추가로 확보해 폐·공가 철거를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후 시는 건물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폐·공가를 철거한 뒤 그곳을 주차장, 텃밭, 마을쉼터 등 공공용으로 활용하고, 건물소유자에게는 재산세 면제혜택을 준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일부 폐·공가는 리모델링해 마을관리센터, 작은 도서관, 문화·예술공간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유찬 시 주거환경정책관은 “정비사업구역 내의 폐·공가 관리사업을 추진해 폐·공가가 강력 범죄의 온상이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겠다”며 “도심 속 부족한 녹지 및 주차공간으로 활용해 쾌적한 주거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상섭기자 k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