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창룡문]사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우리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전 세계 1위다. 지난해 기준 67.6%에 이른다. 이는 세계 평균보급률인 14.8%보다 4.6배나 높은 수치이다. 보급률 55%로 2위인 노르웨이보다도 10%p 이상, 3위인 홍콩의 54.9%보다 13%p가량 높다.

스마트폰 보급률에서 우리가 1위를 차지한 것은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기록이다.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만 해도 0.7~2.0%로 낮은 수치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2009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아이폰이 도입되고, 이후 국내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본격 가세하며 2010년에는 14%, 2011년에는 38.3%로 급격히 증가해 왔다. 이처럼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네트워크 통신망이 전국적으로 빠르게 구축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리고 전문가들은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에도 보급률이 증가, 8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하며 여전히 세계 1위를 고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보다 11.9%p 상승한 수치이다.

그 중심에는 역시 초·중·고등학생을 비롯한 젊은층이 있다. 최근 교육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생 10명 중 7명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49%, 중학교 85%, 고등학교 84%로 조사됐다. 또 학생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도시 70%, 농어촌 67%로 도·농간 격차도 거의 없다.

앞뒤를 둘러봐도, 여기저기 손에 손에, 없는 사람이 없는, 스마트폰. 이 스마트폰 때문에 요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자녀들의 부모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다수 신입생들이 입학선물로 스마트폰을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자’도 아니고 ‘아이스크림’도 아닌 휴대폰을 사겠다며 매장으로 이끄는 자녀를 보며 사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혼돈에 빠지는 것은 물론이고 ‘휴대폰 하나 사는 걸 마트에서 무슨 간식 하나 사는 것’처럼 표현한 말투에 황당해하기 일쑤라는 것. 특히 자신이 휴대폰 쓸 나이가 됐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놀랍다고 이구동성이다. 내달 입학식을 앞두고 준비하고 챙겨야 할 일이 많은 황금돼지띠(2007년생) 부모들의 고민이 이래저래 깊어만 가는 2월 하순이다.

/정준성 논설실장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