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박물관은 오는 20일부터 다음달 13일까지 기증유물실에서 한국 전통 매듭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테마전 ‘매듭, 과거와 현재를 잇다’를 선보인다.
전통 매듭과 그 매듭의 현재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된 이번 전시에는 경기도박물관 소장 유물과 함께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22호 매듭장인 김희진 선생, 김혜순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교수, 한국매듭연구회 회원들의 작품 130여점이 전시된다.
전시는 ‘옷과 함께하다’, ‘나를 표현하다’, ‘실용품에 예술을 담다’, ‘아주 오래된 매듭 이야기’, ‘아름다운 실내장식’, ‘전통 매듭의 재창조’ 등 6가지 테마로 구성된다.
‘옷과 함께하다’에서는 조선시대 의복과 관련된 매듭 유물인 세조대, 광다회, 허리대 등이 소개된다. 특히 보물 제1298호로 지정된 조영석의 ‘조영복 초상’과 조영복 초상에 나타난 세조대를 그대로 재현한 김혜순의 작품 ‘조영복 세조대’가 함께 전시된다.
‘나를 표현하다’는 각 개인의 신상정보와 미적 취향을 표현하는 데 쓰인 매듭 작품들을 선보인다. 한국매듭연구회의 ‘무지개술삼작노리개’와 ‘선추’, 도박물관의 ‘나비모양노리개’, ‘향갑노리개’, ‘산호노리개’, ‘니금사원형삼작노리개’, ‘대삼작노리개’, ‘호패’ 등이 전시된다.
주머니, 모자와 같은 실용품에 쓰인 매듭 장식이 돋보이는 ‘실용품에 예술을 담다’에서는 ‘남바위’, ‘조바위’, ‘아얌’, ‘풍차’ 등 다양한 종류의 모자가 공개된다.
‘아주 오래된 매듭 이야기’에는 2008년 심익창의 부인인 성산 이씨(1651~1671)의 묘에서 출토된 주머니와 노리개를 볼 수 있다. 손톱과 발톱을 넣은 ‘조낭’ 3점, 머리카락을 넣은 ‘두발낭’ 1점, 향가루를 넣은 ‘향낭’ 1점, ‘진주낭’ 1점 등 주머니 6점과 ‘가지노리개’와 ‘용머리장식노리개’ 등 노리개 2점이 전시된다.
‘아름다운 실내장식’에서는 ‘고비’, ‘붓걸이’, ‘횃대’, ‘방장’, ‘발걸이’ 등 실내를 장식하는 데 사용된 한국매듭연구회 회원의 작품들을 선보인다.
마지막 테마인 ‘전통 매듭의 재창조’에는 김희진의 ‘보요노리개’, ‘고목에 핀 매듭’, ‘목걸이’, 김혜순의 ‘즐거움’, ‘꽃밭에서’, ‘봄꽃향기’ 작품과 한국매듭연구회 회원들이 만든 현대적인 장신구, 생활용품, 매듭 작품을 통해 전통 매듭 기법의 아름다움과 응용 가능성을 느껴볼 수 있다.
이 밖에 보물 제1728호로 지정된 ‘허전 초상’과 ‘이인엽 초상’이 전시돼 초상화에 그려진 조선시대 의복 속에 드러난 매듭 장식을 직접 살펴볼 수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 전통 매듭의 참가치를 발견하고, 오랜 전통을 이어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사람들의 아름다운 노력을 느껴보기 바란다”고 말했다. 일반 4천원, 청소년 2천원. 도민 25% 할인.(문의: 031-288-5400)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