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당 공천위원회는 엄격한 공천기준 적용을 약속했다. 공천관리 기준으로 강력·성범죄 등 파렴치 범죄를 비롯해 뇌물과 정치자금법 위반의 부정·비리사건 관계자, 탈당·경선불복 등 해당행위자를 후보추천에서 제외하는 부적격 기준을 적용했다.
그러나 전과나 행위 등이 비슷한 후보들이 컷오프에 통과하고 탈락으로 나뉘어져 고무줄 기준이라는 비판에 휩싸였다.
컷오프 결과에 당협위원장과 공심위원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이야기까지 번지고 있어 ‘상향식 공천’ 무용론마저 제기되고 있다.
급기야 6일에는 컷오프에서 탈락한 4명의 예비후보들이 시당사에서 단식투쟁에 들어가며 공정한 경선을 요구하고 나섰다.<사진>
7일에는 이번 공천심사에 불복하는 4명 외의 예비후보자들과 당원 300여명이 중앙당사에서 ‘공천심사 불복과 공정한 재경선’을 요구하며 투쟁을 계획하고 있다.
단식투쟁에 돌입한 남동구의회 A부의장은 2012년 이윤성 전의원의 탈당 때 정치적 의리를 지키려 같이 탈당했다가 당의 요구로 복당한 과거가 있다.
그는 “그러나 B동구청장 예비후보나 C 강화군수 예비후보의 경우 2010년 경선에 불복하고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까지 한 해당 행위 경력이 있는데 컷오프에 통과했다”고 무원칙한 공천관리 기준을 강력 비판했다.
또 남구 라 선거구 구의원 D예비후보는 “최근 10년 안에 졸음 운전한 사실이 있다. 피해자에게 합의까지 끝내며 사건을 원만하게 처리했다”면서 “그러나 남동구 시의원 E예비후보는 방화 및 살인미수, 동구 F구청장 후보는 폭력 및 다수의 전과기록이 있는데 컷오프에 통과했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남동구 여성단체에서도 공심위에서 10차례가 넘는 전과기록이 있는 여성후보를 전략 공천했다며 강력 비판하고 있다.
/인천=윤용해·이정규기자 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