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시에서는 한국적이고 현대적인 조형감각으로 전통의 맥을 이어온 강찬균(1938~) 금속공예가의 50여년 작품세계를 회고하는 150여점의 작품을 시대별로 선보인다.
강찬균은 한국공예 1세대 금속 공예가이자, 전통의 단절과 기술 쇠퇴로 위축돼 가는 금속공예분야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한 교육자다.
작가는 1970년대 우리 전통기법을 재발견하고 공예의 쓰임을 바탕으로 한국의 정서와 미의식을 서정적으로 담아낸 작품들을 보여주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했다. 이는 한국금속공예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고 정체성을 끊임없이 모색하게 했다.
전시는 60년대부터 지금까지 시대별 5섹션으로 나눠진다.
1960년대 장르와 재료를 탐구하는 시기를 시작으로, 1970년대는 작가가 금속재료의 조형성과 가변성에 반해 금속공예라는 장르에 몰입하며 공예의 쓰임에 주력한 작품들을 보여준다.
1980년대는 작가 특유의 해학과 기지, 시적상상이 담긴 개구리, 달, 거북이 등과 같은 한국적이고 자연의 모티브를 장인적 섬세함과 결합시키는 ‘生의 안단테’ 등 서정적인 작품들을 볼 수 있다.
1990년대에는 부드럽고 가는 선을 따라 이솝우화를 그려나가듯 자연을 돋을새김(chasing)으로 표현한 ‘과반’과 ‘랜턴시리즈’가 대표작이다.
마지막으로 50여년의 작가생활에 정점을 찍는 ‘눈부처’, ‘무궁무궁’ 등 질감과 형태의 표현을 위해 수많은 망치질을 반복하며 금속공예의 무한한 확장을 바라는 작가의 최근작을 감상할 수 있다.
미술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는 전통을 마주해왔던 원로 금속공예가의 고민과 성찰이 담겨 있으며, 오늘날 잃어버린 손의 가치가 복원되기를 바라는 작가의 염원이 숨겨져 있다”며 “작가의 작품 일대기를 넘어 한국 금속공예의 맥을 되새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 2천원.(문의: 02-2188-6000)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