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후보자의 기호와 순서는 어떻게 정하는지, 정당은 어디인지 아직도 반복되는 질문이다. 7개의 투표용지에 기표해야 하는 유권자들로서는 매번 헷갈리기 십상이다. 교육감 선거는 더 헷갈린다. 정치적으로 중립성을 지켜야 하는 까닭에 정당추천은 당연히 없다. 더욱이 올해 교육감 선거에서 처음으로 ‘순환배열방식’ 투표용지가 선보인다. 각 후보자에게 기호를 부여하지 않고 선거구마다 후보 이름 기재 순서가 바뀌는 투표용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지난 선거에서는 투표용지 게재 순서를 어떻게 추첨하느냐에 따라 득표에 영향을 미쳐 일명 ‘로또선거’라는 지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교육감 선거는 관심도와 후보의 인지도가 낮다. 자연스레 첫째 자리는 새누리당, 둘째 자리는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았다. 이를 조금이나마 방지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 투표용지의 이른바 교호(交互) 순번제다. 그렇다고 전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여론조사기관이나 일부 언론사에서 교호순번제에 따른 후보별 득표율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여전히 앞 순서에 배치된 후보가 유리한 결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우리는 2006년부터 그동안 몇 차례 교육감 선거를 치르면서 숱한 문제점을 지적해왔다. 후보자가 누구인지도 제대로 모르는 상황에서 투표를 하는 게 일쑤였다. 선거일이 코앞에 다가왔는데도 불구하고 후보들의 정책과 공약을 가늠해 볼 길이 없다. 후보자는 후보자대로 정책보다는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이념대결에만 몰두하는 양상이다. 헌법에 명시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전문성 자주성은 온데간데없다. 유권자들도, 후보자들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경기도의 경우 7명의 후보가 등록했다. 진보 성향의 후보들은 단일화했다고는 하지만 유권자들은 관심이 없다. 보수 성향의 후보가 난립해도 누가 누군지 모르는 상황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참여 단체에 대한 설명 없이 보수 또는 진보 ‘단일 후보’라는 말을 쓸 수 없다는 유권해석까지 내렸다. 결국은 유권자들이 스스로 관심 갖는 수밖에 없다. 26일 오전 10시 경기도선거방송위원회 주최로 MBC에서 경기도교육감 후보 토론회가 생중계된다. 직접 들어보고, 접해보면서 누구를 뽑아야 할지 고민해야 할 일이다. 교육감 선거는 우리 교육의 미래를 책임질 교육 지도자를 뽑는 일이지, 이념의 지도자를 뽑는 것은 아니다. 누가 경기교육을 짊어질 수 있을지 유권자들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