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17일 전임자 70명 가운데 경기지부 6명 등 39명만 복귀시키기로 하자 각 시·도교육청이 미복귀자 처리 문제를 고심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가 21일까지 미복귀 전임자에 대한 처리결과를 시·도교육감들에게 요구한 반면 경기도교육청 등 대부분이 일단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어서 자칫 갈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전교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정상적인 다툼과 대화가 이뤄지지 못한 채 전임자들의 대량해직이 예고되는 상황에서 대량해직을 막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일부 전임자들의 현장복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경기지부는 전임자 8명 중 본부 조직실장과 대변인을 제외하고 지부 소속 전임자 6명 전원이 복귀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교조의 이같은 결정에 대해 “21일까지 처리 결과를 받아보고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전교조 관계자는 “교육부가 미복귀 전임자 31명을 징계한다면 전교조 탄압 의지를 또 다시 확인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와 전교조가 다시 한번 대립하면서 경기도교육청 등은 미복귀자 처리 문제를 고심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일단 전임자들의 복귀 상황을 지켜보고 나서 징계 여부와 수위 등은 다른 시·도교육청과 보조를 맞춰 정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전임자가 모두 복귀하기로한 부산, 대구, 광주 등을 제외한 경기도 등 나머지 시·도교육청 중 상당수가 미복귀 전임자들에 대한 징계에 미온적이거나 눈치보기를 계속할 경우 교육감 취임 초기부터 교육부와 적지 않은 갈등이 예상된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