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매출성장이 커지고 있는 게임산업이 글로벌시장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정부의 과감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는 우리나라게임 산업 매출의 84.7%, 수출의 70.6%를 차지하고 있다. 게임산업은 고용의 85.2%가 40세 미만이고, 60.1%가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로 전문직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
세계2위를 기록하고 있는 게임산업을 발전시켜가기 위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정책수립이 절실한 이유다. 게임산업은 우리나라가 민간주도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한 유일한 지식서비스산업으로 세계 게임시장의 6.3%를 차지하고 있으며 온라인게임 시장에서는 28.6%를 점유하고 있다.
판교테크노밸리의 경우 매출 상위 5대 기업이 모두 입주해 22.7조원의 매출과 6천124억 원의 수출을 담당한다. 한국 게임산업의 성공 요인으로 우수한 젊은 인재 중심의 학습커뮤니티 형성과 개방적 지식생태계 발전, 초고속인터넷, PC방 등을 활용한 부분유료화, 소액결제 등 혁신적 비즈니스모델 창출, 정부의 정책개입 최소화로 시장주도형 비즈니스 생태계 형성이다.
비즈니스 확산, 선도적 게임기업들의 창조인력 및 기업의 사관학교 역할 수행, 문화적 자신감 확보 등 창조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게임 산업을 자율적 규제로 전환해 지속가능한 성장구조를 창출하고, 판교테크노밸리에 게임의 거리, e-스포츠 스타디움 등 공간 제공, 제2판교테크노밸리 조성으로 게임산업을 중심으로 한 창조경제 확산이 필요하다.
젊은 인재 중심의 학습커뮤니티 형성 및 개방적 지식생태계 발전, 소액결제 등 혁신적 비즈니스모델 창출, 정부 정책개입 최소화에 따른 시장주도형 비즈니스 생태계 형성 등도 성공요인이다. 세계 게임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전략을 강화하며 수출 대상국 다변화, 중국 업체와의 경쟁 해결, 개발 초기 글로벌 전략을 통한 시장 주도권 확보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콘텐츠 산업의 창의성개발을 위해서도 규제 혁파 노력이 중요하다.
세계 게임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시장 전략을 강화하여 수출 대상국 다변화방안과 중국 업체와의 경쟁 해결방안 마련도 서둘러야한다. 중국모바일 게임업체 라인콩이 한국지사를 설립해서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도하고 있어서다.
정치권이 사회악근절을 위해 준비중인 게임중독 관련법제정도 신중을 기하기 바란다. 콘텐츠산업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게임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시켜서 미래의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시켜 가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