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구원투수’로 등판한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르면 오는 22일 김무성 대표를 만나 정국 정상화 방안과 세월호법 조율 방향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세월호 특별법을 둘러싸고 꽉막힌 대치정국이 야당 지도부 교체를 계기로 여야가 협상재개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특히 새정치연합의 문 비상대책위원장이 협상에 유연하게 임할 것임을 시사하면서 주위에서는 본격적으로 협상이 재개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지금이 협상 재개의 적기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여야간 2차 합의안을 유가족들이 거부하며 협상이 꼬인 점을 고려하면, 야당과 유족 지도부에 변동이 있었다는것만으로도 협상의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기대를 낳고 있다.
문 위원장은 취임 후 세월호법 협상에 대해 “유족의 양해가 전제되야 한다”며 “복안이 있다”고 언급, 여당과 유족이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절충안이 나올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진상조사위에 수사권·기소권을 주는 방안을 관철하기 어렵다고 보고 절충안을 제시하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이런 분위기 속에 여의도 정가에서는 금주초 문 비대위원장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양자회동은 물론, 양당 원내대표들까지 포함한 ‘2+2 회동’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하지만 현재로선 세월호법을 바라보는 여야의 시각 차가 큰 만큼 세월호법과 국회 정상화 협상이 일괄 타결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세월호법은 타결을 위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는 수준의 합의를 전제로 여야가 의사 일정에재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문 비대위원장이 지난 주말 취임 일성으로 “싸워도 국회 안에서 싸워야 한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신념을 강조한 것은 일단 국회 의사일정에 참여하면서 세월호법 협상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될 수있다.
다만 김 대표와 문 비대위원장 사이에서 논의가 긍정적으로 진행되더라도 두 여야 수장이 직접 의사일정에 합의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새누리당 원내 지도부가 이른바 ‘투 톱’의 역할 분담을 강조하면서 문 비대위원장이 협상에 직접 참여하는 것에는 이미 부정적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문 비대위원장이 김 대표에게 ‘유연한 대안’을 들고 오더라도 일단 협상의 물꼬만 터주고 최종 합의는 이완구·박영선 원내대표의 몫으로 넘겨줄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