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이 70%를 넘는 곳이 잇따라 나오면서 전세 수요의 매매 전환이 일어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토부가 전세가율과 주택거래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세가율이 높은 곳에서 아파트의 매매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9월 기준 67.1%로 작년 1월과 비교하면 7.4%포인트 올랐다.
경기는 68.4%, 인천 66.0%, 서울 65.4% 등이다.
경기의 경우에도 전세가율이 70% 이상인 화성·오산·의왕·군포·수원·구리·하남·안양·부천 등 9개 시의 매매 증가율은 54.7%(3만2천가구→4만9천가구)에 달해 전세가율이 65% 이하인 파주·김포·용인·여주·남양주·포천·양주·광주·과천 등 9개 시의 28.3%(2만7천가구→3만5천가구)를 크게 웃돌았다.
도내에서 의왕시 1곳 등을 제외하고 전세가율과 매매거래량 증가 사이의 상관계수(r)를 산출하면 0.58이 나와 둘 사이에 상관관계가 상당한 정도 존재한다는 뜻으로 분석됐다.
일부 지역에서 전세가율이 70%를 돌파하면서 전세가 매매로 전환되는 임계점에 다다른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국토부 관계자는 “매매 거래가 꾸준히 활성화되려면 거시경제 여건이 개선돼야 하고, 주택의 공급 과잉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