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저축은행 “대출금리는 포기 못 해”

예·적금 금리 낮춰도 고금리 대출 여전
서민금융기관 역할 제대로 못해 ‘눈총’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0%로 낮추자 저축은행도 예금과 적금 금리를 0.1%포인트 가까이 낮췄지만 대출 금리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공시된 전국 저축은행 평균 수신금리를 보면 지난 20일 기준 1년 만기 정기예금은 연 2.70%, 1년 만기 정기적금은 연 3.43%다.

지난 7월 14일 전국 저축은행의 1년 만기 평균 정기예금(2.79%)과 정기적금(3.52%)금리보다 각각 0.09%포인트 낮은 수준으로 한은이 기준금리를 2.5%에서 2.25%로 낮춘 지난 8월 14일 기준, 한달전부터 지난 20일까지 약 3개월간 전국의 저축은행 평균 예금금리가 0.1%포인트 가까이 인하된 것이다.

그러나 저축은행의 대출 금리는 여전히 높다.

지난 8월 기준으로 은행과 대부분 2금융권은 예금 금리와 함께 대출 금리를 내렸으나 저축은행은 되레 대출금리가 올라간 바 있다.

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금리대별 취급비중을 보면 26곳의 저축은행이 지난 3개월간 연평균 25% 이상의 고금리 대출 사업(추가대출이나 기간연장을 포함하지 않은 신규취급액 기준)에 치중했다.

연평균 30∼35%의 고금리 대출 비중은 현대(88.2%), 스타(84.0%), 모아(83.3%), 스마트(83.2%), 아주(74.8%), 예가람(67.0%), HK(65.0%), 고려(61.6%), 인성(53.1%), SBI2(51.4%) 순으로 높았다.

대부업 대출 최고 금리가 지난 4월부터 기존 연 39.0%에서 34.9%로 낮아진 점을 고려하면 이들 저축은행의 대출 금리는 대부업체와 크게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저축은행은 대부분 고정금리를 채택해 한은의 기준금리 변동을 반영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자산 규모 업계 1위인 HK저축은행은 연 25∼30%의 신용대출 금리 비중이 21.2%로, 연평균 25% 이상의 고금리 신용대출 취급 비중이 총 86.2%에 달했다.

일본계로 4개의 계열사를 보유한 저축은행 업계 1위(종합 자산 기준)인 SBI저축은행도 연평균 25% 이상의 금리 취급 비중이 81.7%(SBI2 기준)였다.

대부업계 저축은행인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은 대출금리 연 25∼30%의 비중이 99.6%에 이른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은행이 한자릿수, 보험·카드사는 10% 초반대, 저축은행이 15% 안팎, 대부업체가 20∼30%의 연간 대출금리를 맡아 서민이 단계적인 금리대로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서 가교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2@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