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가 재정난에 허덕이면서도 관용차를 구입하는데는 예산을 펑펑 써온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6일 열린 김포시의회 행정복지위원회의 회계과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권오준 의원은 책임보험은 물론 검사도 안받고 운행되고 있는 관용 무적차량의 관리실태를 밝혀냈다.
특히 권 의원은 “차량값은 고려치 않고 과다한 예산부터 세운 뒤, 그 예산에 맞춰 최고사양의 가장 비싼 차량을 구입하는 등 전형적인 공직사회의 방만한 예산낭비가 아닐 수 없다”고 집행부를 질타했다.
시가 권 의원에게 제출한 지난 2012년부터 최근까지 3년동안의 차량구입 현황에 따르면 1천100만원이면 넉넉히 살 수 있는 모닝승용차 6대를 구입하면서 각각 1천500만원에서 2천500만원까지 과다하게 예산을 세운 뒤 예산에 맞춰 내비게이션에다 선루프까지 장착해 구입했다.
1천735만원이면 좋은 아반떼 승용차를 살 수 있는데도 2천만원의 예산을 세워 1천937만원을 주고 운전석 통풍시트까지 장착되는 최고사양 차량을 구입했다.
RV 차량을 구입하면서도 2천500만원대의 투산이나 스포티지를 구입해도 업무추진이 충분한데 역시 3천500만원의 예산을 세워 선루프에 내비게이션까지 장착한 최고급 사양의 산타페를 3천315만원에 샀다. 또 최고 사양으로 구입해도 남은 예산은 전용하거나 불용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동일 차량을 구입하는데 부서마다 세운 예산도 각양각색이다. 모닝승용차 예산으로 1천300만원, 1천500만원, 1천600만원, 2천500만원 등 마구잡이로 세웠다. 산타페 차량의 경우 어느 부서는 3천100만원, 다른 부서는 3천500만원을 세웠다. 차량구입 예산을 세우는데 통제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증거다.
차량관리는 더욱 심각했다. 시가 현재 운행하는 관용차 239대 중 환경개선부담금이나 자동차세를 안내 세정과로부터 압류당한 차가 무려 40여대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현행법에 따라 1년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무보험(책임의무보험, 일반보험 포함)은 물론, 검사조차 받지 않은 채 운행하는 차량도 3대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오준 의원은 “6~7년의 차량구입 연한을 감안할 때 매년 35대의 차량을 구입하는 상황인데 적정 차량을 구입하면 연간 20%에 해당하는 1억4천만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포=천용남기자 cyn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