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민선6기 동안에 사회적 일자리 18만 개를 창출한다고 발표했다. 분야는 자활, 노인,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6개 분야 43개 사업이다. 여기에 드는 예산만 해도 1조3천600억 원이나 된다. 사회적 일자리란 유럽에서 저소득층의 장기 실직이 사회적 문제가 된 지난 1980년대에 생겼다. 일자리가 필요한 계층에겐 근로 기회를 주고 빈곤층이나 취약계층에겐 필수재적인 사회서비스를 공급한다. 사회적으로 유용하면서 복합적인 효과를 준다. 저소득층 홀몸노인·장애인·소년소녀가장 대상 가사·간병도우미, 저소득층 보육지원, 노숙자 돌보기, 재활용품 수거 및 분리, 환경오염 감시 등이 주 일자리다.
주로 서비스분야의 일자리들로서 사회적으로는 유용하다. 그러나 수익성이 낮기 때문에 영리기업들이 기피한다. 따라서 주로 정부의 예산지원이나 비영리단체에 의해 창출된다. 경기도 역시 사회적일자리에 관심을 갖고 있다. 국비 53.3%, 도비 7.7%, 시군비 39%를 들여 추진하는 사회적 일자리 유형은 △국민기초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대상 ‘자활근로 및 지역사회서비스’ 5만9천106개, △65세 이상 노인일자리 3만7천601개, △장애인일자리 7천509개, △경력단절 등 여성일자리 3만2천120개, △문화재 돌봄, 북한이탈주민 등 4만1천167개 등이다.
그동안 우리사회는 경제적 효율성만을 중시한 나머지 민족 전통의 최고 가치인 공동체가 해체되는 치명적인 손실을 입었다. 경제만 내세우면 모든 것이 용서됐다. 이명박 정권의 부자 감세 정책도 이에 편승한 것이다. 어찌됐거나 빈부의 차이는 갈수록 더 벌어지고 사회는 각박해졌다. 하지만 사회적 경제는 사람의 가치를 우위에 두며 협동, 공생, 공유를 중시한다. 사회적 일자리도 그렇다. 도는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지난 10월 사회적일자리과를 신설했다. 이 부서는 여기 저기 산재한 사회적일자리 관련업무를 통합관리한다.
또 한편으로는 분야별 강점을 살리면서도 지속 가능한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관련기관, 전문가들과 함께 일자리 포럼과 일자리 발전소를 구성해 사회적일자리 정책방향과 세부전략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사회적 일자리는 복지와 경제를 조화롭게 하기 위한 정책이다. 중요한 것은 실적 과시를 위한 머릿수 채우기가 아니다. 예산에 비해 효율성이 없다는 비판은 이미 오래 전에 나왔다. 이젠 제대로 된 일자리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