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2월 임시국회 이틀째인 16일 긴급현안질문 등을 통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에 대한 공방을 이어갔다.
새누리당은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을 담은 청와대 문건은 ‘찌라시’에 불과하다는 기존 입장을 견지하며 검찰 수사를 지켜봐야 한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문건 유출 혐의로 조사를 받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모 경위가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회유를 암시한 유서를 남긴 것을 고리로 압박수위를 한층 강화했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이번 임시국회는 법안처리를 위한 민생국회다. 여야는 입법경쟁으로 성숙한 국회질서를 선도해 나가야 한다”면서 전방위 공세에 나선 야당을 겨냥했다.
새정치연합 우윤근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검찰은 수사를 축소은폐하고 청와대는 한모 경위를 회유하는 일이 버젓이 벌어졌다”면서 “검찰의 수사를 더 이상 인정할 수 없다. 수사에서 그만 손을 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국회 긴급 현안질문에서 새누리당 함진규(시흥갑) 의원은 미리 배포한 자료를 통해 “청와대와 관련된 잘못된 보도로 인해 국민이 혼란에 빠질 우려가 있는 상황이라면 국민께 신속히 사실 관계를 설명해 혼란을 최소화하는 게 대통령의 의무”라며 청와대가 검찰 수사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는 야당 비판을 꼬집었다.
함 의원은 “여야는 공무원연금개혁과 자원외교 국정조사에 매진하고 청와대 문서유출 등은 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본 뒤 수사결과가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여야가 국회 차원에서 검찰에 재수사를 요청하는 게 타당하다”며 야당의 특검이나 국정조사 요구를 일축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안민석(오산) 의원은 황교안 법무부 장관에게 “한 경위가 체포 하루 전인 8일 청와대 민정수석실 직원으로부터 ‘자백하면 기소하지 않겠다’는 회유를 들었다는데 이는 최모 경위의 유서 내용과 같다”며 “어제 청와대 회유는 없었다는 답변은 거짓 아닌가”라고 몰아세웠다.
또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지난 1년 반 동안 있었던 문체부 국·과장의 경질, 비선실세 딸의 승마 국가대표 특혜 의혹, 이런 것들이 비선실세가 국정을 농단한 결과라고 밝혀지고 있다”며 철저한 내부상황 파악을 주문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