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정세균 박지원 문재인 비대위원이 17일 동반사퇴함에 따라 내년 2·8 전당대회를 향한 당권 레이스가 본격 개막됐다.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정, 박, 문 비대위원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사퇴를 공식 선언하고, 비대위원직에서 나란히 물러났다.
이로써 지난 9월 중순 박영선 전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직 사퇴 이후 구성된 ‘문희상 비대위’는 약 3개월만에 새로운 진용을 갖추고 전당대회까지 활동한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비대위 회의에서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이 생각난다. 만감이 교차한다”며 “힘을 모아 당을 안정화시켰으며 새로 개편되는 비대위에서도 당의 변화와 차질없는 전대 준비에 헌신하겠다”고 밝혔다.
문 위원장은 18일 후임 비대위원 인선을 완료한 뒤 19일 첫 비대위 및 당무위 회의를 잇따라 열어 전대 룰을 확정할 방침이다.
공정한 전대 관리 임무를 띤 후임 비대위원으로는 김성곤 전대준비위원장과 원혜영(부천오정) 혁신실천위원장 등이 거론된다.
새정치연합은 오는 27∼28일 후보자 등록, 내년 1월7일 예비경선(컷오프)을 거쳐 2월8일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게 된다.
정세균 비대위원은 비대위에서 사퇴의 변을 밝히면서 “오늘 사퇴는 더 큰 봉사를 하려는 선택”이라며 출마를 기정사실화한 뒤 “당의 위기를 맞아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전대, 국가비전과 정당혁신을 놓고 경쟁하는 전대가 되도록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박지원 비대위원은 “바람과 비가 한 배에 타듯 ‘풍월동주’의 비상한 각오로 그동안 비대위에 임했으며 이제 잠시 짐을 내려놓겠다”며 “당 지지도 상승세가 지속돼 새누리당보다 더 많은 국민 지지를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비대위원은 “우리 당이 과연 정권교체에 성공할 능력이 있는지 묻는다. 전대에서 이 물음에 대답해야 한다”며 “전대를 계파와 개인의 이익을 초월, 변화와 혁신의 의지를 모으는 단합의 자리로 만들고, 당을 수리하는 차원을 넘어 신제품으로, 지는 정당이 아닌 이기는 정당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