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부터 은행들의 대출 연체이자율이 인하돼 최고 이자율이 연 15%로 제한된다.
저금리 심화로 시중금리가 계속 내려가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다만, 대출자 입장에서 더 중요한 중도상환수수료 인하의 경우 은행들이 1년이나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외환 등 국내 은행들과 스탠다드차타드(SC), 씨티은행 등의 외국계은행들은 현재 연 17~21%에 달하는 대출 연체이자율을 다음달 일제히 내리기로 했다.
하나, 신한, 우리, 외환은행 등 4개 은행은 최고 연체이자율을 연 17%에서 15%로 낮춘다.
이들은 연체기간별로 대출금리에 일정 가산금리를 더해 연체금리를 부과하는데, 그 가산금리도 이번에 내렸다.
1개월 이하 연체의 경우 대출금리에 7%포인트, 1~3개월 연체는 8%포인트, 3개월 초과 연체는 9%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더해 연체금리를 부과했는데, 그 가산금리를 각각 7→6%포인트, 8→7%포인트, 9→8%포인트로 낮췄다.
국민은행의 경우 최고 연체이자율이 다른 은행보다 다소 높은 연 18%였는데, 다음달부터 연 16%포인트로 낮춘다.
씨티은행은 최고 연체이자율을 기존 연 18%에서 연 16.9%로 낮출 방침이다.
SC은행도 최고 연체이자율을 낮추지만, ‘눈 가리고 아웅’식의 인하라는 비판이 나온다.
가계 신용대출의 최고 연체이자율을 연 21%에서 연 18%로 낮추지만, 가산금리는 현행 9~10%포인트를 유지하는 등 가산금리 자체는 건드리지 않아 대출자에게 별 도움이 안 되기 때문이다.
이번 인하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의 전반적인 연체이자율이 너무 높다는 비판도 있다./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