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폭등에 지친 전세입주 희망자들이 아파트 전세를 포기하고 연립·다세대 주택으로 방향을 선회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은 8일 최근 수도권 주택시장의 실거래 신고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감정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의 중형 이하 주택 거래량은 2013년과 비교해 전체적으로 늘어났다.
그 증가 폭은 20% 후반대에 달한다. 서울·경기·인천지역의 평형(소형·중소형·중형) 별로 보면 아파트보다 다세대·연립 주택의 거래 증가세가 큰 폭으로 늘었다.
서울의 소형 주택 거래량을 보면 아파트가 2013년 1만5천400가구에서 지난해 2만200가구로 31.0% 증가했고 연립 거래량은 1천800가구에서 2천600가구로 43.6%가 늘었다.
경기 지역도 비슷한 상황이다.
경기의 소형 주택 가운데 2013년과 비교한 지난해 아파트 거래 증가량은 30.4%로 연립(21.8%)보다는 높았지만 다세대(32.6%) 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경기 중소형 주택의 경우 아파트가 20.1% 증가하는 사이 연립은 28.2% 증가했고, 경기 중형의 경우 아파트 거래 증가량(20.0%)은 다세대(31.4%)나 연립(30.0%) 거래 증가량에 미치지 못했다.
채미옥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수도권에서 1억∼2억원대 소형 아파트 전세수요가 2억∼3억원대의 연립·다세대 주택 등의 매매로 전환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