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임금피크제를 활용해 청년고용을 늘리는 기업에 정부 재정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 차 미국 워싱턴 D.C를 찾은 최 부총리는 18일(현지시간) 동행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노사정위원회의 대타협은 불발됐지만 정부가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가동할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최 부총리는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아낀 비용으로 청년을 고용하면 재정 지원을 할 것”이라며 “이 제도는 노사정 합의와 관계없이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8일 결렬된 노사정위원회에서는 근로자 상위 10%의 임금동결, 임금피크제 도입 등으로 재원을 조성해 청년 일자리 80만 개를 만들자는 제안이 논의됐었다.
최 부총리는 “일터를 찾는 청년들이 한 해 50만 명씩 나오는데 정규직 청년 일자리는 20만 개가 안 된다”며 “청년실업 해소에 재정을 쓰는 것은 아깝지 않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잘 설계하겠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기업이 임금피크제를 통해 아낀 돈을 새로 청년을 고용하는 데 쓰면 전액 또는 일정 비율을 정부가 매칭 방식으로 지원해 주겠다는 설명이다.
최 부총리는 “기업 입장에서 손해가 나지 않도록 지원해 주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특히 노동시장에 대해 “인력양성 체계, 비정규직·정규직의 이중구조가 이대로라면 청년 실업 문제를 절대로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