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재보선에서 새누리당이 승리함으로써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은 일단 탄력을 받게 됐다. 연금개혁안도 미흡하기는 하지만 합의안이 도출됐다. 이제는 경제 살리기와 각종 국정개혁 과제들을 차근차근히 풀어나가야 할 때다. 그중에서도 차기 총리 인선문제도 중요하다. 공석 중인 총리는 이번 만큼은 실패하지 않아야 한다. 국민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유능한 총리가 내정돼야만 국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지 2년 여가 지났는데 그동안 임명된 총리는 무려 다섯 명이나 됐다. 여섯 번째 총리를 물색해야 하는 대통령으로서는 고충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수첩과 진영’에서 총리를 고르다보니 총리에 대한 일종의 트라우마를 갖게 됐다. 총리후보자를 찾기 위해 장고에 들어갈 만큼 후임 총리를 고르는 것은 보통 부담스런 일이 아닐 게다. 벌써부터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들이 즐비하다. 그러나 면면을 보면 국민이나 정치권이 공감하기에는 다소 미흡한 면이 없지 않다. 그래도 도덕성과 국정과제 추진력을 겸비한 후임 총리를 빨리 찾아 청문회에 부치는 것이 여러가지로 혼란스런 정국을 속히 매듭짓는 길이다. 그러기에 이번 후임 총리 인선은 계파는 물론 내 사람과 네 사람을 떠난 ‘개혁 총리’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이유다.
차기 총리는 박 대통령이 이것저것 주변을 다지지 말고 오직 인물 위주로 선택의 폭을 넓힐 것을 주문한다. 총리로서 적합한 인물은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도 많이 보아왔다. 이완구 전 총리처럼 하고싶어 하는 사람도 즐비하다. 어떤 사람이 적합한지는 대통령 자신이 누구보다도 잘 알 것이다. 삼고초려라도 해야 한다. 취임 이후 수많은 사람을 자리에 앉히고 일을 시켜본 터라 더욱 그러하다. 이번에도 새 총리 인선과정과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시끄러워서는 안 된다. 국민이 공감하고 정치권이 인정하는 도덕성을 갖춘 인물, 나라와 국민만을 위해 국정을 살필 수 있는 인물을 선택하기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는 ‘남경필식’ 연정을 택하지 않더라도 야당 인사 중 훌륭한 자질을 갖춘 사람도 괜찮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이번 보궐선거 광주 서을 지원 유세에서 다음에는 전라도 사람을 한번 총리로 시켜주시기를 대통령께 부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어쩌면 의미있는 발언이다. 야당과 나눠먹자는 것이 아니다. 임기동안 자기희생을 할 수 있는 인물이면 가능하다. 통합과 소통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