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누차 지적해왔지만 경기북부 지역에 대한 경기도나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과 규제완화가 필요하다. 지금 경기북부 지역민의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왜냐하면 안보와 환경 등 각종 규제가 심해 경기 남부지역과의 문화 경제적인 격차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부지역 주민들을 지원하면서 쓰다듬어야 할 정부는 손을 놓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오죽하면 지난 80년대 중반부터 경기북부 분도(分道)론이 줄기차게 제기되고 있을 것인가? 물론 경기북부 분도가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그러나 정부는 이런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
경기북부는 수도권 규제, 군사시설 보호규제, 팔당·임진강 유역의 환경 규제 등 규제가 중첩돼 발전을 막고 있다. 연천군과 가평군은 명색만 수도권일 뿐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낙후지역이다. 말로는 통일한국의 핵심, 중심, 통일의 교두보라고 추켜세우지만 분단 60년동안 안보를 위해 고통만 겪었다. 이제라도 국가 안보를 위해 희생한 북부지역에 대한 국가차원의 실질적인 보상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경기도는 낙후한 경기 북동부 지역에 예산 지원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의 토대를 세우기 위한 ‘북·동부지역 경제특화 발전사업’을 처음 추진한다. 시군으로부터 제안사업을 공모한 결과, 20개 사업이 응모됐다.
도에 따르면 분야별로는 최대 100억 원까지 지원되는 지역산업경제기반 조성형 사업 분야에는 8개 사업이, 최대 70억 원까지 지원되는 생활경제 육성형 사업분야에는 12개 사업이 각각 신청됐다고 한다. 이 사업이 관심을 끄는 것은 그간 하향식 위주로 진행되는 도비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시군 제안을 바탕으로 결정되는 상향식 예산지원 방식이라는 점이다. 앞으로 도는 민간전문가를 참여시킨 경제특화발전지원위원회를 통한 평가와 현장답사를 하고 오는 5월 말 최종평가를 거쳐 지원 대상을 선정하고 6월부터 본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란다.
이후 분야별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사업 착수부터 완료까지 사후 관리하면서 선정된 사업이 내실 있게 진행되는 것을 도울 예정이다. 도 관계자의 말처럼 경기 북동부 경제특화 발전사업은 상대적으로 낙후한 경기 북동부의 지역경제 발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 경기북부에 대한 투자는 곧 통일한국의 미래를 위한 투자다. 그러므로 투자에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북부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은 지속적으로 더 확대 추진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