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화폐로서의 금화는 BC 7세기경 그리스의 식민지 류디아에서 처음으로 주조된 것으로 전해진다. 가장 오래 유통된 금화는 4세기경 로마시대 콘스탄티누스 1세 때 주조된 ‘소리두스’ 금화로, 폭넓은 지역에서 1000년 이상이나 유통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3세기 이후 피렌체에서 주조된 ‘후로린 금화’와 ‘베네치아의 금화’ 그리고 비슷한 시기인 영국 헨리 7세 때 만들어진 1파운드 금화인 ‘소브린 금화’ 등은 이탈리아·영국·프랑스 등 유럽 각지에서 근대적인 통화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그리고 금화는 19세기까지 유일한 본위화폐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금화의 전성시대는 1914년 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지금의 화폐에 자리를 내줬다. 모든 나라가 금본위제를 폐지하고 다양한 화폐를 발행하면서 금화는 사실상 통화로서의 유통이 중지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금화가 주조된 적이 있다. 대한제국 때인 1905년 만들어진 20원, 10원, 5원짜리 금화가 그것인데 아쉽게도 통용되지 못했다. 따라서 세계적인 희귀 주화로 알려져 수억 원을 호가 한다.

유통화폐로서 가치를 상실한 금화는 기념주화라는 이름으로 화려하게 부활, 그 인기가 대단하다. 뿐만 아니라 미국·호주·캐나다·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유통 가능한 금화를 제조·판매하고 있는데 최근 몇 년 사이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다고 한다. 이상 열기 라고 까지 하는 이 같은 현상으로 인해 라인을 풀가동 중이거나 판매 중단사태도 종종 발생한다는 것이다.

국제 통용어로 불리언코인(bullion coin)이라 하는 금화는 그려진 문양에 따라 캐나다는 ‘메이플리프금화’, 호주는 ‘캥거루금화’, 미국은 ‘이글금화’, ‘버펄로금화’ 중국은 ‘판다금화’라는 별칭으로 부른다. 발행 국가가 중량·품위 등을 보증해줘 신뢰도가 높아 주조국 내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롯 세계 각국에서 불티나게 팔린다.

이처럼 금화 열풍이 불자 조폐공사가 불리언코인 시장에 뛰어들 모양이다. 화폐 제조시장이 갈수록 쪼그라들자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는데 세계 최고라는 우리의 화폐 주조기술도 과시하고 국익에도 도움 됐으면 좋겠다. /정준성 주필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