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문학으로 풀어본 무예]무예와 사냥의 문화사

 

인간이 무기를 만들고 갑옷을 입은 최초의 이유는 자연과의 투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였다. 바로 사냥이다. 석기시대에 돌을 깨거나, 돌을 갈아서 창날을 만들고 화살촉을 만든 이유가 인간보다 강한 동물을 사냥해서 생존의 방편으로 삼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인간이 정착생활을 하고, 동물들을 직접 키우는 방식으로 삶의 형태가 전환되면서 사냥은 전투를 대신하는 군사·정치적인 목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국가라는 인간들의 거대한 조직체를 만들고 군대라는 합법적인 무장집단을 양성하면서 사냥은 그들을 집단화시키고 훈련시킬 수 있는 최고의 무예수련 장이었다.

화약무기가 전장을 휩쓸기 전까지 말을 탄 기병은 최고의 전투력을 보유한 병종이었다. 순간의 강력한 돌파력 그리고 적의 머리 위에서 직격을 가할 수 있는 위치상의 장점, 그것은 기병만이 갖는 최고의 장점이었다. 여기에 적에게는 엄청난 공포심까지 유발시킬 수 있었기에 기병은 전장의 꽃이자, 전투력의 상징이었다. 그런데 기병은 늘 말과 함께 움직여야 했기에 평시에도 자신들이 타던 전투마와 호흡을 맞춰야만 전장에 쉽게 적응할 수 있었다.

그래서 평상시 기병들이 자신의 전투마와 함께 진행한 사냥은 실전 무예훈련의 정점이자, 전투력 유지의 핵심방편이었다. 그중 말을 타고 동물을 쫓아가며 활을 쏘는 기사(騎射)는 적을 원거리에서 사살할 수 있는 최고의 무예였기에 전통시대 가장 많은 훈련을 진행한 종목이었다. 조선시대에 기병들이 익혔던 무예 중 말을 타고 활을 쏘는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훈련했던 무예 중 가장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것이 바로 ‘사구(射毬)’다. 그 이름처럼 달리는 말 위에서 움직이는 공을 쏘는 일종의 모의 사냥 훈련이었다. 특히 공의 움직임과 속도를 거의 살아 있는 동물의 수준까지 올리기 위하여 멈춰 있는 공이 아니라, 말을 탄 선도 기병이 직접 줄에 매단 커다란 공을 끌고 달려가면 후미 기병이 뒤쫓아 가며 이를 공격하는 방식이었기에 사냥과 흡사한 형태였다.

이때 사용하는 화살은 혹시 모를 인마살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날카로운 촉을 제거하고 끝 부분에 솜을 둥글게 말고 무명으로 씌운 무촉전(無鏃箭)이라는 화살을 사용하였다. 또한 화살의 깃은 일반 화살보다 두 배 이상 넓은 대우전 형태를 달았는데, 이는 근접거리에서 정확하게 요격하기 위한 형태였다. 이러한 사구가 펼쳐지는 날이면 주변에 있는 군사들이 모두 모여들어 화살 한발 한발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함성소리와 함께 진행되었기에 관람용 무예 스포츠로서도 확실한 자리매김을 한 무예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구 이외에 ‘삼갑사(三甲射)’라고 하여 기병과 기병의 전투를 상정하여 직접적으로 화살세례를 가하는 방식의 무예훈련도 있었다. 구체적으로 갑, 을, 병 세 조로 군사들을 구분하고 각각 갑은 을을 공격하고, 을은 병을 공격하고, 병은 갑을 공격하는 형태로 규칙을 정해 훈련했기에 서로 쫓고 쫓기며 다양한 형태의 전술훈련을 가능케 하였다. 여기에도 역시 화살을 촉을 제한 무촉전 방식에 두터운 가죽으로 끝을 씌우고 거기에 붉은 색 물감을 묻혀 쏘도록 하였다. 그래서 훈련이 끝난 후 상대방 갑옷에 묻은 붉은 점의 개수에 따라 점수를 줘서 이긴 사람에는 좋은 활과 화살이나 성질이 좋은 전투마를 선물로 주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의 경우는 ‘강무(講武)’라 하여 국왕이 군사들과 어우러져 직접 사냥을 통한 무예훈련 의례까지 있었을 정도였으니 사냥이 얼마나 정치적으로 진화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강무 때에는 적게는 수백, 많게는 수만 단위의 군사를 특정지역에 매복시키거나 진형을 갖춰 몰이를 하고 사냥을 했기에 그 자체로 웬만한 전투를 능가하는 형태였다. 이렇듯 인간이 자연과의 투쟁 속에서 펼쳤던 사냥은 그 자체로 발달된 무예훈련으로 거듭날 수 있었고, 이것이 거대화된 조직체 속에서는 정치적으로도 변화 발전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사냥과 무예 그리고 스포츠, 이것이 정치와 만나면 또 다른 형질 전환을 한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