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 국내 증시도 감염된 양상이다.
사망자가 2명이나 발생하는 등 메르스 감염 우려가 확산하자 백신 관련주와 제약주 등이 연일 가격제한폭까지 오르는 등 급등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백신 개발·생산업체인 진원생명과학은 전날보다 2천950원(14.86%) 오른 2만2천800원에 장을 마쳤다.
진원생명과학은 메르스 확산 국면에서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메르스 발생 전 1만원 미만이었던 진원생명과학의 주가는 지난 열흘 새 103.80% 올랐다.
지난달 27일 “관계사인 이노비오와 함께 메르스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DNA 백신을 개발하기로 하고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히면서 연일 상한가로 직행하고 있다.
백신 관련주로 꼽히는 제일바이오의 주가가 메르스 발생 후 지난 1일까지 39.38% 오른 것을 비롯해 손세정제 사업을 하는 파루(37.55%), 중앙백신(28.22%), 이-글 벳(22.54%) 등도 연일 상한가로 치솟으며 상승세다.
메르스 진단키트를 생산하는 바이오니아도 사흘 연속 상한가로 직행했으며 마스크 관련주인 오공과 케이엠, 웰크론, 크린앤사이언스, 의료용 장갑을 생산하는 유니더스 등도 상한가를 기록했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치료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를 만드는 제약업체 등의 주가도 덩달아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현대약품과 고려제약, 경남제약, 녹십자엠에스, 진양제약 등이 나란히 가격제한폭까지 상승했으며 일동제약(14.35%)과 보령제약(13.27%) 등도 급등했다.
이밖에 백광산업, 한올바이오파마 등도 메르스 관련주도 묶이며 연일 상한가를 달리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