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최승호
거울을 볼 때마다
점점 젊어지는 사람이 있다면
그게 요귀妖鬼지 사람이랴
거울공장 노동자들은
늘 남의 거울을 만들어놓고
거울 뒤편에서 주물鑄物처럼 늙는다
구리거울을 만들던 어느 먼 시절의 남자를
훤히 비추던 보름달이
곰팡이도
녹도
이끼도 없이
빌딩 모서리 스모그 위로 솟고 있을 때
문득 거울에 비친 제 모습을 보다가
껄껄껄 웃을 만큼
낙천적인 해골은 누구인가?
- 최승호 시집 〈아무것도 아니면서 모든 것인 나〉
거울 속에는 외면의 세계와 내면의 세계가 공존한다. 따라서 진정한 우리의 실체와 삶의 모습을 솔직하게 보여주고자 시인은 거울을 등장시켰는지 모른다. 특히 이 시에서는 거울의 역학적 관계를 하나의 시적 감각과 모티브로 이용한 착상이 독자로 하여금 울림으로 작용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거울의 생성과정에서의 숨겨진 삶의 이야기를 구체화 하여 시로써 이끌어낸 동기 부여가 마음에 와 닿는다. 우리는 거울을 보면서 참나의 모습과 나의 분신을 다시 한 번 반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정겸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