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의료진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감염이 이어지면서 병원의 감염관리에 구멍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확진자 명단에 포함된 164번 환자(35·여)는 삼성서울병원의 메르스 진료 병동에 근무한 간호사로 75번(63·여)·80번(35)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동에 근무했다고 대책본부는 설명했다.
메르스로 확진된 환자를 진료한 삼성서울병원 의료진의 감염은 벌써 두 번째다.
앞서 17일 발표된 162번 환자(33)는 삼성서울병원의 방사선사다.
대책본부는 162번 환자가 이달 11∼12일에 72번·80번·135번·137번 환자의 엑스선촬영을 하는 중에 이들의 기침에 노출돼 감염된 것으로 판단했다.
이처럼 162번·164번 환자 모두 진료 과정에서 접촉한 기존 확진자들로부터 감염됐다면 삼성서울병원이 메르스 2차 유행이 한창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원내 의료진 감염 관리에 소홀했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당국은 우선 삼성서울병원 의료진의 개인보호구가 미흡했다고 설명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달 16일까지는 삼성서울병원 의료진이 ‘레벨D’ 수준의 엄격한 개인보호구 장비를 갖추지 않아 개인보호구가 미진한 부분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17일부터 레벨D 보호구를 적용했다고 대책본부는 전했다.
삼성서울병원이 2차 유행지가 된 이후인 16일까지도 감염관리에 여전히 구멍이 있었다는 것.
이에 삼성서울병원 측은 의료진의 보호구와 관련 “164번 환자는 격리병동 의료진이므로 레벨D 보호구를 갖추는 것이 원칙”이라며 “보호장구를 벗는 과정에서 (실수로) 감염됐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162번과 164번이 메르스 병동의 확진자들이 아니라 병원 내 다른 환경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정 센터장은 “162번과 164번이 입원 환자가 아니라 병원의 오염된 환경에서 감염됐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