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 드라마/실화
감독 : 김학순
배우 : 김무열/진구/이현우
2002년 6월 29일, 대한민국과 터키의 월드컵 3, 4위전이 열리던 이날 오전 10시경 서해 연평도에서 북한의 등산곶 684호가 대한민국 참수리 357호 고속정을 기습 공격해 해상 전투가 발발했다.
기습 함포 공격을 시작으로 상호간 치열한 격전이 약 30분간 진행됐다. 30분간의 전투 끝에 대한민국은 2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참수리 357호 고속정이 침몰했다.
영화 ‘연평해전’은 2002년 당시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재구성했다. 누구도 예상치 못한 전투의 순간에도 흔들림 없이 나라를 지키려 했던 정장 윤영하 대위를 비롯해 헌신적인 조타장 한상국 하사, 따뜻한 배려심을 지닌 의무병 박동혁 상병까지 군인이기 전에 우리의 아들, 친구, 가족이었던 그들의 이야기는 애틋한 감동을 더한다.
김학순 감독은 “이 전투로 인해 희생당한 사람들과 유가족분들에 대한 생각이 깊어졌다. 이 영화를 만들면서 자신이 태어난 나라에 대한 애정과 사랑, 관심을 우리가 다 같이 소중하게 간직해야 한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며 영화의 의미를 전했다.
휴먼 감동 실화를 그린 ‘연평해전’의 참수리 357호 대원인 윤영하 대위, 한상국 하사, 박동혁 상병은 각각 김무열, 진구, 이현우가 연기한다.
뮤지컬, 영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연기력을 선보인 김무열은 참수리 357호를 지휘하는 정장으로 분해 냉철한 이성과 따뜻한 감성을 완벽 소화하며 극의 몰입도를 높인다.
누구보다 헌신적인 조타장 한상국 하사 역은 ‘명량’(2014), ‘쎄시봉’(2015) 등 다양한 작품으로 연기력을 입증받은 진구가 연기했다.
마지막으로 따뜻한 배려심을 지닌 의무병 박동혁 상병 역에는 폭넓은 연기력으로 20대 대표배우로 자리매김한 이현우가 맡았다. 이현우는 “당시 그분들도 내 또래였다는 생각에 마음이 아프고 안타까웠다. 동혁 역을 연기하면서 연평해전 당시 내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과연 그렇게 할 수 있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다”며 작품에 참여하게 된 소감을 전했다.
가슴을 울리는 탄탄한 시나리오에 반해 출연을 결심한 세 배우의 모습은 실제 성격과도 닮아 있는 캐릭터와 환상의 조화를 이루며 기대감을 높인다.
특히 영화 ‘연평해전’은 국민들 자발적으로 후원금을 모아 제작을 도운 사실이 전해져 화제를 모았다. 국민들은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그날의 실화를 공감하며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총 3차례에 거쳐 후원금을 모았다.
온 가족이 함께 모은 돼지 저금통을 기부한 농부부터 아들을 군대에 보낸 가정주부, 중·고등학생까지 세대와 계층을 초월해 진심을 보냈다.
뜨거운 성원 속에 진행된 ‘연평해전’ 크라우드 펀딩은 4천500여 명의 개인 및 단체가 참여해 역대 최고 금액이 모였고, 그것은 총 6만여 명의 후원 및 투자로 이어지게 되는 물꼬를 터 줬다.
성원을 보내준 7천여 명에 달하는 크라우드 펀딩 참여자들의 이름이 영화의 엔딩 크레딧을 장식해 그 의미를 더한다.
/민경화기자 m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