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신한·하나금융 등 3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해당 계열사 임원들이 청년 채용을 위해 임금 반납을 밝히자 나머지 금융권 임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 신한, 하나 등 지주사 계열은 회장을 따라 임원들도 임금 반납 폭을 내부적으로 정했지만, 나머지 금융회사들은 아직 구체적인 동참 계획 없이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3일 윤종규 KB금융 회장,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 3대 금융지주 회장들이 임금 30%를 자진 반납하기로 결의했다.
3대 금융지주 회장들의 임금 반납은 청년 고용 문제 해결에 강한 의지를 보인 것이어서 관심을 끌었다.
3대 지주 회장들에 이어 박인규 DGB금융 회장, 성세환 BNK금융 회장, 김한 JB금융 회장 등 지방 금융지주 3사 회장도 연봉 20%를 반납하기로 결의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금융지주 회장들의 연봉 반납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자 비지주 계열사들은 고민에 빠졌다.
그룹 계열사들은 모그룹과 의견을 먼저 조율해야 하는데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업권에서 단독으로 움직이기엔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임금 반납의 궁극적인 목적은 청년 채용 늘리기인데 CEO 임금 반납 말고도 다른 형태로 청년 고용 늘리기를 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조심스럽게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