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제가 아들입니다” 65년간 사무쳤던 사부곡

눈물의 이산가족상봉 현장
北 채훈식씨, 환갑 넘은 子 만나
아버지와 생후 헤어진 딸 등
5가족 부모-자녀간 상봉 성사

“아버지, 제가 아들입니다.”

생후 돌이 지났을 무렵 “잠깐 다녀오겠다”고 외출한 아버지를 다시 만나기까지 65년이 흘렀다.

예상치 못한 전쟁은 부모와 자녀의 이별을 반세기가 훌쩍 넘는 민족의 비극으로 만들었다.

1년8개월만의 제20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린 20일 오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아버지 채훈식(88)씨를 만난 아들 희양(65)씨의 눈에서는 멈출 수 없는 눈물이 흘렀다.

함께 울며 그런 아들을 강하게 부둥켜 앉은 아버지는 깊이 눌러썼던 자신의 중절모가 벗겨진 것도 눈치 채지 못했다.

어깨를 들썩이며 갈색 손수건이 눈물로 완전히 젖을 때까지 아무런 말도 못하고 눈물만 흘리던 부자의 슬픔을 다독인 것은 며느리와 어느새 마흔에 접어든 두 손자의 처음 받는 인사였다.

남편이 내미는 손을 못내 잡지 못한 아내 이옥연(88)씨는 “이제 늙었는데 손을 잡으면 뭐해”라며 지난 세월의 짙은 회한을 드러냈다.

이날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는 총 5가족이 부모-자녀간 만남을 이뤘다.

생후 한달만에 헤어진 아버지 정세환(87)씨를 만난 딸 신연자(65)씨의 눈에서는 쉴 새 없이 눈물이 흘렀다.

아버지와 이별이 워낙 일러 얼굴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어머니가 항상 “그렇게 잘생겼다”고 떠올렸던 자신의 아버지가 틀림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자씨는 연신 “우리 아버지 맞아, 아버지 맞구나!”라고 확인하며 “엄마, 아직 살아 있어”라고 거동이 어려워 이번 상봉에 참여 못 한 어머니의 소식을 전했다.

결코 상상하지 못했던, 그리고 당사자가 아니고선 상상할 수 없는 오랜 세월 사이에 놓인 재회였기에 말보다 눈물이 앞서는 것은 당연했다.

북측 아버지 손권근(83)씨와 남측 아들 종운(67)씨는 마주 서서 한참 동안 서로의 눈을 바라보며 아무런 말을 못했다.

부자의 눈에서 이내 눈물이 터져 나왔고, 아버지는 연방 아들의 어깨를 두드릴 뿐이었다./연합뉴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