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으로 연명하는 이른바 ‘좀비기업’이 3천개 넘는것으로 조사됐다.
21일 LG경제연구원이 628개 비금융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부채상환능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도는 좀비기업 비율은 2010년 24.7%에서 올해 1분기 34.9%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분석도 마찬가지이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좀비기업 수가 2009년 2천698개(12.8%)에서 지난해 말 3천295개(15.2%)로 증가했다.
특히 대기업 중 좀비기업 비중은 2009년 9.3%에서 지난해 14.8%로 늘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좀비기업 가운데 옥석을 가리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현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인 좀비기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우선 부채가 많은 좀비기업을 순차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시중은행의 부실채권 관리 회사인 유암코(연합자산관리)를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로 활용키로 했다.
이에 따라 유암코는 앞으로 IBK기업은행과 함께 주로 좀비로 분류되는 중소기업의 구조조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대기업 구조조정은 종전에 해왔던 산업은행이 주로 담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제도적으로는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