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커피를 처음 마셨다고 알려진 오스만 제국의 터키인들은 커피가 질병치료 등 의학과 깊은 상관관계에 있다고 믿으며 약효를 확신했다. 그래서 담석, 통풍, 천연두, 홍역, 기침 치료제로 썼다. 11세기 초 아라비아의 의사들은 커피가 ‘위장의 수축을 부드럽게 하며 각성효과가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17세기 유럽의 의학자들도 커피를 몸에 이로운 약으로 여겼다. 당시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활동했던 의사 ‘알피누스’는 “커피는 생리 주기가 불규칙하거나 생리통으로 고생하는 여성들에게 특효가 있다”고 했다. 이보다 훨씬 이전인 2세기경 로마 고대 도시 페르가뭄에선 의사들이 사람의 체질에 맞춰 커피를 처방했다는 기록도 있다.

커피는 18세기 초까지 음료보다는 의약품으로 더 많이 이용되었다. 그러자 효능에 대해 보다 진지하게 접근하는 의학자들이 늘어났다. 동시에 커피가 건강에 해롭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그 중 하나는 신경쇠약을 일으키고, 위액의 변화를 가져오며, 경련·중풍을 유발한다는 것이었다. 물론 근거는 매우 미약했다. 이슬람교도들의 음료인 커피가 기독교 신자들의 대륙에 들어온 것에 대한 반감이 더 컸다.

커피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본격 확산된 것은 카페인 섭취가 인체에 해롭고 커피에 카페인이 많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부터다. 따라서 한동안 ‘커피 하면 카페인’이라는 등식이 성립돼 기피 음료로 전락하기도 했다. 불과 한 세기 전의 일이다. 편견은 적당량의 카페인이 이뇨 작용과 정신을 맑게 하는 각성효과 및 집중력을 향상시켜 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불식됐다. 1900년대엔 카페인을 제거한 디 카페인 커피가 등장하면서 음료의 지존자리에 올랐다.

최근 하버드대 연구팀이 하루에 3∼5잔 정도의 커피를 마시면 커피를 전혀 안 마시는 사람보다 3∼7년 정도 더 오래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는 보고서를 내놔 화제다. 이유는 하루 이정도의 커피를 마시면 심장병과 파킨슨병, 성인 당뇨병, 뇌졸중에 따른 조기 사망 위험을 낮추고 자살 가능성도 예방되어서 그렇다는 것이다. 누가 커피를 ‘악마의 유혹’이라 했는지 궁금하다. /정준성 주필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