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한강하구 철책제거 구간의 수변지역 4.6㎞가 철책제거에 앞서 시민에게 개방될 전망이다.
지난 1975년 간첩침투를 막기 위해 한강하구에 철책이 설치된 지 40년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는 셈이다.
홍철호 국회의원(새·김포)은 7일 국회 국방위 ‘한강하구 군사용 철책 제거 방안 검토 소위원회’(이하 한강철책소위)가 한강 하구 일부를 낮 시간대 시민에 개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이날 새누리당 김포당협위원회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일 열린 한강철책소위가 합참으로부터 이런 내용의 한강하구 일부 철책 개방에 대한 보고를 받고 수용, 개방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개방 시기와 출입문 수, 출입자 확인 시설, 시민 둔치 이용 시설, 수변 안전 펜스 설치 등은 홍 의원 실과 관할 김포시가 협의해 결정한다.
현재 한강 하구 김포 방면은 일산대교에서 고촌읍 전호리까지 9.7㎞ 구간에 민간인이 접근할 수 없다. 군과 김포시는 철책을 2012년 4월까지 제거할 계획이었으나 수중감시장비가 확보되지 않아 1.3㎞만 제거한 뒤 중단된 상태다.
한강철책소위 위원인 홍 의원은 “시와 협의를 빠르게 진행하고 관련 시설 설치를 서두르면 이르면 내년 1월말에는 시민이 한강 둔치를 산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기대했다.
김포시 관계자는 “일산대교 주변에 둔치가 좀 있고 다른 지역은 둔치가 거의 없다”며 “대교 주변에 맞는 산책로와 자전거길 등 친환경 시민 레저시설 설치를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강철책소위는 내년 10월 합참의 철책 대체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김포시와 협의해 철책 제거를 계속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포=천용남기자 cyn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