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데도 인천지역은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전무해 효율적인 학교급식 관리에 난맥상을 드러내고 있다.
시가 지난 2012년부터 학교급식지원센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정난으로 인해 최대 300억원의 설립 비용을 마련하지 못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실정이다.
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구축한 학교급식지원센터 통합관리시스템이 올해 전국 50여개로 확대된다.
학교급식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전국에 100여개의 학교급식지원센터가 설립되고 있으나 인천지역은 지원센터 설립 자체가 답보된 상태로 급식 관리 업무 효율성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은 100여개의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립 또는 위탁 운영해 우수한 식재료를 학교에 납품하고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인천 지역은 현재 정부 지침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지정 정보 처리 규칙 상 학교급식 전자 조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 조달 시스템은 급식 식재료 등의 납품과 발주 등의 행정서류를 간소화하며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다.
통합관리시스템은 기존 전자조달시스템 보다 강화된 기능을 탑재한 시스템으로 지원센터가 지자체로부터 보조 받는 지원금 등을 통합으로 관리하며 학교 행정망과의 전산연계를 통해 학교와의 수발주, 정산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식재료의 납품이 몰리는 매월 초 농가와의 계약 이후 발주 건을 일일히 확인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인력 소모를 전산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식재료 계약부터 소비자에 이르는 모든 단계의 행정절차 전산화와 학교와 급식지원센터간 서류 제출 등의 간소화가 상호간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있어 올해 전북 익산, 군산시, 경남 김해시, 제주도 5개 권역과 경상북도의 센터들이 시스템 사용 계약을 체결했다.
인천시 역시 지난해 1월 열린 통합관리시스템 설명회에 참석했으나 기초적인 지원센터가 설립되지 않아 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시에서 지난 2012년부터 급식지원센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180~3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설립 비용이 없어 센터 설립이 지연되고 있다”며 “통합관리시스템을 사용하면 좋은 이점을 알고 있지만 시스템 사용에 앞선 지원센터 구축 자체가 안돼 그림의 떡”이라고 말했다.
/류정희기자 r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