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초등학교에서 같은 학년 학생이 같은 날 일제히 정기적으로 치르는 시험이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없어진다.
경기도교육청은 13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16학년도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계획’을 마련해 각급 학교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학생 성장 중심 교육과정으로 행복한 배움의 학교 만들기’를 목표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적극 지원한다.
교과 진도 수업, 수업과 무관한 평가, 학습 성과와 무관한 학생부 기록을 탈피해 수업시간 안에 이뤄지는 과정 중심의 평가로 배움 중심 수업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교사의 평가권을 강화해 교사가 가르친 내용을 적절한 시기에 평가하게 하고 올해 초등학교 1·2학년부터 일제평가식 정기고사를 폐지한다.
또 내년엔 3·4학년, 2018년엔 5·6학년까지 중간·기말시험을 차례로 폐지하되 올해 우선 같은 문항으로 같은 날짜에 시행하는 시험을 축소한다.
이밖에 외부기관 시상, 반 배치고사 등을 위한 학년 단위 일제고사도 없어지고,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에서 논술형 평가를 확대한다.
중·고등학교에서는 평가 방법 개선보다 수업 개선에 더 역점을 둬 지난해와 연계해 일관되게 추진하면서 학생 참여형 수업에 맞은 관찰 평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시험 관리 때 휴대전화 소지와 필기도구 위반 등 부주의나 단순 지시 불이행 행위를 0점 처리하는 규정을 삭제하게 했다.
종전의 엄격한 잣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관리기준을 준용한 것이어서 수업을 통한 교사와의 소통 결과를 평가하는 것과는 목표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초등은 일제평가식 정기고사를 폐지하고 교사별 평가를 전면 시행하며, 중등은 입시를 위한 평가가 아닌 정상적인 교육활동 과정과 그 결과로서의 평가에 중점을 둔 것이 성장 중심 평가의 골자”라고 말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