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가 9년새 2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질병관리본부의 ‘2014 국민건강통계’를 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05년 5천257㎎에서 2014년 3천890㎎으로 9년새 26.0% 감소했다.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영양소별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다.
나트륨 하루 평균 섭취량은 조사가 처음 시작된 1998년 이후 4천500~4천800㎎ 수준을 유지하다 2005년 5천㎎을 넘기면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10년(4천831㎎), 2011년(4천789㎎), 2012년(4천583㎎), 2013년(4천28㎎)등 점차 감소한 뒤 2014년 처음으로 4천㎎ 이하로 내려갔다.
이러한 감소세는 2017년까지 나트륨 섭취를 20%(3천900㎎ 이하) 줄이겠다던 식약처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 목표를 예상보다 3년 앞당겼다.
이로 인한 의료 비용 감소 및 사회경제적 효과도 크다.
식약처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의 사회경제적 효과 평가’ 보고서는 2010~2014년 4년간 나트륨 저감에 따른 사회경제적 편익을 11조7천억 이상으로 추정했다.
식약처는 “지금까지는 나트륨 섭취를 줄여야한다는 인식 개선을 중심으로 했다면 앞으로는 구체적인 목표량, 감소 방법 등 실천 위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