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2009년 첫선…오만원 발행 20조 첫 돌파

한국은행 작년 20조5천억 발행
환수율 40.1%… 비교적 낮은편
“과거보다 유통 원활해져”
일부선 지하경제 유입 분석도

한국은행이 연간 발행한 5만원권 지폐가 지난해 처음으로 20조원을 넘어섰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한해 동안 발행한 5만원권 지폐는 20조5천702억원으로 2014년(15조2천625억원)과 비교해 34.8%(5조3천77억원) 늘면서 증가세로 다시 돌아섰다.

장수로는 4억1천만 장이 넘는다.

지난 2009년 처음 유통된 5만원권 발행은 첫해 10조7천67억원에서 이듬해 15조4천963억원으로 1년 만에 50%가량 급증했다.

이후 2011년 17조2천694억원, 2012년 17조7천796억원으로 늘었다가 2013년 15조4천121억원, 2014년 15조2천625억원으로 줄었다.

지난해 5만원권 환수율은 2014년의 25.8%(환수액 3조9천403억원)보다 크게 높아진 40.1%(8조2천500억원)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80%를 넘는 다른 지폐와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이 때문에 5만원권 중 일부가 비자금 용도 등으로 지하경제로 흘러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은은 금융기관의 5만원권 지급한도 관리를 중단하고 수요에 맞게 충분히 공급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5만원권 발행액과 환수액이 함께 늘어난 것은 과거보다 유통이 원활하게 이뤄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5만원권 외의 지폐는 발행 규모가 2014년보다 감소했다.

1만원권은 지난해 14조3천885억원으로 12.3% 줄었고 5천원권은 4천123억원으로 5.9%, 1천원권은 4천538억원으로 3.7% 감소했다.

주화(동전) 중에는 500원짜리 동전의 발행 증가가 두드러진다.

지난해 500원짜리 동전 발행 규모는 667억원으로 2014년보다 46.6% 급증했다.

한은은 작년 초 담뱃값이 4천500원으로 오르면서 거스름돈 용도로 500원짜리 수요가 유발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반면 100원짜리 동전은 지난해 319억원 규모로 발행돼 10.6%, 10원짜리는 21억원 규모로 18.0% 줄었다.

한편 작년 12월말 현재 화폐발행 잔액은 86조7천571억원으로 1년 전(74조9천447억원)과 비교해 15.8% 늘었다.

/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