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육당국과 경찰이 장기결석 초등학생을 전수조사한 결과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던 1명의 생사가 불투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해당 학생은 행방불명된 지 무려 6년이 넘었지만 교육당국은 전수조사를 통해 뒤늦게 사실을 파악해 수습에 나섰다.
27일 경기도교육청과 경기지방경찰청 등에 따르면 교육청이 이번에 조사한 7일 이상 장기결석 초등학생은 기존(49명)보다 33명 증가한 82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홈스쿨링이 35명, 해외출국 16명, 대안교육 2명이며, 소재와 안전상태가 확인돼 출석을 독려 중인 학생은 26명으로 총 79명의 소재가 확인됐다.
이외 부천 살인사건 피해자 1명외에 도내 A특수학교에 재학중이던 B학생(92년생·여)이 2008년부터 질병 치료를 사유로 결석하다가 2012년 12월 사망신고된 것이 확인됐지만 1명은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교육당국은 B학생이 다니던 특수 학교는 출석 유예처리(정원외 관리) 해뒀다가 이번에 전수조사 과정에서 교육청에 보고했고, 교육당국과 경찰의 사망원인 조사 결과 질병에 의한 사망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B학생과 같은 A특수학교에 다니던 C학생(94년생·지적장애 1급)은 여전히 생사여부조차 확인되지 않아 교육당국이 경찰에 확인을 요청한 상태다.
B학생은 지난 2006년 모 복지시설에 유기됐다가 3년 뒤 친모를 자칭한 여성이 “죄책감에 시달리다가 다시 왔다. 아이를 데려가겠다”는 자필 편지를 놔두고 아이를 데려간 뒤 행방이 묘연한 상태로, 해당 복지시설은 아이가 사라진 뒤 장애인 관련 수당이 계속 나오자 지난 2009년 3월 C학생의 주민등록을 말소시켰다.
또 경찰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했지만, 결국 행방을 찾지 못했다.
경찰은 현재 교육청 요청을 받아 C학생의 행방을 조사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B학생은 경찰과 해당 지자체에 확인한 결과 주민등록 말소 사실이 확인됐다”면서 “생사여부가 불투명해 경찰에 재차 확인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경기지방경찰청 관계자는 “관할 경찰서는 C학생이 지적장애 등급을 받을 당시의 얼굴 사진 등을 확보, 행방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당국과 지자체, 경찰 등은 지난달 인천 여자 초등생 학대 사건을 계기로 이날까지 장기결석 초등학생에 대한 전수 조사를 벌여 교육부에 보고했다./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