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노인자살 예방 국가·국민 함께 나서야

최근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노인 자살률은 10만명당 120명이라고 설명했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 중 1위이자 OECD 평균(10만명당 18명)보다 6배나 높은 수준이다. 특히 경기도의 노인 자살률이 높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014년 도내 인구 10만명당 노인(65세 이상) 자살률은 61.3명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 25.7명보다 무려 2.3배나 높은 것이다. 농촌 노인들의 경우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농약을 마시고 자살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지난 2014년 자살한 노인은 742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84명이 농약을 마셨다.

이에 경기도가 농촌 노인들의 음독자살 예방을 위해 농약안전보관함 보급사업을 추진한다는 소식다. 도내 14개 시·군, 92개 마을에 2천862개의 농약안전보관함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도는 농약안전보관함은 잠금장치가 있어 충동적인 행동을 막는 효과와 함께 예상치 못한 사고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자살을 결심한 사람의 의지를 막을 수는 없다. 스스로 목숨을 끊을 수 있는 방법은 도처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약안전보관함 보급사업도 좋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물론 이를 찾기는 쉽지 않다.

노인들이 자살하겠다는 마음을 먹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빈곤이고 신체·정신적 장애와 질병 때문이다. 가족들에게 더 이상 짐이 되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자살을 하게 된다고 한다. 소외와 고독도 큰 원인이다. 빈부격차가 날로 커지는 우리사회 현실에서 상대적인 박탈감으로 노년에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기한대로 노인 자살의 가장 큰 원인은 빈곤문제다. 노인자살률이 OECD 국가 중 1위인데 또 하나의 OECD 국가 1위가 있다. 노인빈곤층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층에서는 상대적 빈곤율이 49.6%로 OECD 평균 12.6%를 훨씬 뛰어넘었다.

가난과 질병, 사회와 가족의 외면 속에서 소외감과 싸우다 견디지 못하고 자살을 택하는 노인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가슴이 아프다. 그리고 이 나라에 사는 것이 참으로 부끄럽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 사회 정서에서 효와 노인을 공경하는 풍토는 전통처럼 정착돼 있다. 그런데도 노인 빈곤률과 노인 자살률이 OECD국가 1위라는 불명예는 무엇인가? 경제적 궁핍과 소외감을 해결하는 것이 노인자살을 막는 길이다. 국가와 사회, 종교가 함께 노력해야 할 일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