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아침시산책]점심 뭐 줘

 

점심 뭐 줘

/유기택

국수 비벼 줘

다진 마늘에 간장 그래

나는 들기름이 좋더라 그거 듬뿍

그거면 됐어



들일 나가신 엄마 냄새가 나거든



- 유기택 시집 ‘긴 시’

 

 

 

구어체로 시작되는 시의 제목부터 편하고 정감이 간다. 대화를 보면 점심을 차려낼 사람은 아내일 수도 있고 누이일 수도 있겠다. 화자는 요리를 하는 이가 국수를 삼고 다진 마늘을 넣은 간장양념을 만들고, 들기름을 치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들기름을 부을 때는 어느 정도의 양에서 엄마 냄새가 나는지를 안다. 어림짐작하는 것이 아니다. 화자의 엄마는 삶은 국수에 간장양념을 치고 들기름을 부어주었을 것이다. 농부인 내 부모님도 눈 만 뜨면 들일을 나가셨다. 엄마는 해질녘에 돌아와 국수 한 그릇 차려내는 일도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마음으로 더듬고 콧숨을 들이쉬며 엄마냄새를 찾는 그가 ‘늙어서 그래’ 라고 할 것 같다. 그는 너스레를 떨지 않는다. 표정이 순박하다. 2015년 4월에 출간한 유기택시인의 시집 「긴 시」에 들어있는 시다. 이 시집의 시들은 짧다. 짧은 시들의 시집 제목이 「긴 시」다. 시가 짧으면 할 말이 많아진다. 시시콜콜 까발려도 시가 된다. 울림과 여백이 많아서일 것이다. 그는 곳곳에서 그리운 것들을 호명한다. 나도 설탕이 범벅된 국수를 혼자 먹을 때 있다. /김명은 시인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