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달부터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실시된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등 지필(紙筆)시험을 치르지 않을 뿐더러 고등학교 입시에도 자유학기의 성적을 반영하지 않는다. 대신 진로탐색 활동, 동아리 활동, 예술·체육 활동, 선택 프로그램 활동 등 자율과정이 실시된다. 이와 함께 학생이 스스로 진로체험 계획을 세우면 학교가 출석으로 인정하는 다양한 자기주도 진로체험도 시행된다. 학생들의 활동은 학교생활기록부에 서술형으로 기재된다. 점수로 기록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학생들이 중학교 한 학기 동안만이라도 시험부담이 없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된 박근혜 정부의 교육 핵심공약이기도 하다. 자신의 특기를 찾고 진로탐색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할만한 제도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자유학기제가 정착되면 고등학교까지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그런데 자유학기제 시행과 함께 사교육의 과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경기도내 학원가에선 벌써부터 사교육을 부추기는 과대광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학원을 비롯한 일부 사교육업체들은 ‘남들이 공부를 안 하는 1학년 때 선행학습을 해둬야 2~3학년 때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며 사교육을 부추기고 있다. 당초의 좋은 취지를 정면으로 거스르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본보 취재 결과 분당과 동탄의 일부 학원들은 자유학기제를 대비해 학습 부진 학생 보강, 선행·심화 학습 동시 진행 등의 내용을 대대적으로 홍보해 당초 자유학기제의 빛을 바래게 하고 있다. 이들은 자유학기제를 틈새시장으로 여기면서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사교육을 권장하고 있는 것이다.
도교육청은 지금까지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분석 결과 학부모는 물론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최근 ‘2016 자유학기제 학부모 콘서트’에서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결과 아이들의 집중도와 학업 성취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제도가 학생들에게 창의와 협업을 가르치게 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따라서 사교육 업체들의 행위는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무력화시키려는 것이므로 강력히 단속해야 한다. 이에 도교육청은 자유학기제 정착과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9일~10일 교육부, 여성가족부, 국민안전처와 합동으로, 성업 중인 도내 학원들을 선정해 집중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앞으로 국가 차원의 근본적이고 엄정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