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2008년 개발계획 승인 이후 8년째 지지부진한 ‘향동·지축지구 공공주택’ 조성 지구 주민들의 이주대책을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23일 고양시에 따르면 향동지구는 덕양구 향동동·덕원동 일원 121만3천255㎡에 공공주택 4천355가구 등 총 8천709가구(수용인구 2만천3166명) 규모로, 지축지구는 덕양구 지축동 일원 119만277㎡(36만59평)에 총 8천966가구(수용인구 2만2천877명) 규모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국책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향동·지축지구는 고양시에 얼마 남지 않은 전형적인 취락마을로 이곳에서 오랜 기간 대를 이어 삶의 터전으로 삼고 살아 온 원주민들의 대부분은 협의 또는 강제 수용돼 현재는 삶의 터전을 떠나 인근 화정, 행신, 능곡 등으로 잠시 이전해 생활하고 있으며 이주대책에 따라 다시 귀향할 날만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법령에 따라 수립토록 돼 있는 이주민대책이 시행 주체인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사업승인권자인 국토교통부에서는 미온적으로 대처로 지지부진해 원주민들의 원성이 높다.
LH는 지축지구의 경우 내부규정에 따라 보상계약 체결 후 6개월을 기준으로 자진이주 및 철거여부에 따라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순위를 정하고 1순위는 이주자 택지를, 나머지 2·3순위는 아파트를 제공하는 방안으로 이주자대책을 수립했다.
그러나 일부 원주민들은 해당 규정은 LH의 내부규정인데다 형평성에도 부합되지 않고 1순위와 2·3순위의 이주자 대책은 하늘과 땅 차이라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향동지구 역시 1순위 대상자가 290명 정도로 예상되나 LH에서 이주자택지로 공급예정인 토지는 176필지로 현재 1순위 대상자도 이주자택지를 공급받지 못할 상황이다.
이에 고양시는 이주자 택지 대체 부지 물색과 지구계획 변경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삼송지구의 미분양 단독주택용지를 지축·향동지구의 이주자 택지로 제공하는 방안과 해당지구계획을 일부 변경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 줄 것을 상급기관인 국토교통부에 건의하는 등 시 행정력을 총 동원해 이주민 관련 대책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양=고중오기자 g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