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아침시산책]사물의 멍

사물의 멍

/김보숙



다리에 깊스를 한 그녀가 놀이터 그네에 앉아 있다.

녹이 슨 그넷줄에 머리를 기댄 그녀가 휘파람을 분다.

그네를 타고 있는 이국여성의 휘파람이 멎은 골목을 흘러 다닌다.

쓰러진 목발을 그네 곁에 세워주고 집으로 돌아가는 어린아이와

세워진 목발을 또다시 쓰러트리는 겨울바람이

오늘 그녀가 본 이국의 풍경이다.

이곳은 아플 때 휘파람을 불지 않아요.

부디 호흡을 삼가해주세요.

휘파람을 불고 있는 그녀의 입술에 하얀 눈이 내린다.

석고가루처럼 휘날리다가 입술을 붙인다.



- 계간 ‘아라문학’ 가을호에서

 

 

 

인간이 고립되다 보면 끝내는 사물화 된다. 세상에 섞이지 못하고 세상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존재로 전락할 때 인간은 가장 커다란 절망에 빠진다. 살아있다고 하는 것은 사랑한다는 말이고, 사랑한다는 말은 사랑 받는다는 말이기도 하다. 사랑 받지 못할 때에 인간은 곧 사물화 된다. 적어도 이국화 된다. 멍이라는 상처는 물질적인 것으로부터 올 때도 있지만 정신적인 부분에서 오는 것이 치명적이다. 온몸에 뜨거운 피가 흐른다는 것은 그래서 살아있다는 증거이고, 살아 있어 우리는 사랑도 한다. 살아 있음에 축배를 들자. /장종권 시인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