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최근 행정자치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지방공무원 정년퇴직자가 1천527명에서 1955년생이 첫 퇴직한 2014년에는 4천595명으로 세 배 이상 증가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지칭되는 베이비부머(baby boomer)는 한국전쟁 뒤인 1955~1963년 태어난 사람을 말한다. 현재 전체 인구의 약 15%인 712만 명에 달한다. 이들의 정년퇴직은 앞으로도 계속돼 올해 6천600명에서 2018년 8천280명, 6년 후인 2020년에는 1만230명에 달한다는 통계다. 그래서 신규 공무원의 채용도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공무원의 자리가 늘어난다면 젊은이들이 들으면 그야말로 희소식이다. 그러나 국가적으로 볼 때 그다지 희망적인 소식만은 아니다. 공무원들은 60세 가까운 나이까지 봉사하고도 퇴직 후 매월 근무기간별로 230만~300만원에 이르는 연금을 수령하기 때문에 노후에 큰 걱정은 없다. 일반 직장에 다니던 사람들은 이미 5~6년 전이나 그 이전에 퇴직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들 베이비부머의 노후안정을 돕는 사업들을 펼치겠다고는 하지만 내용이 피상적인 데다 간접지원이 많아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귀농·귀촌마을을 조성하고 재취업을 지원한다지만 미흡한 게 사실이다.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은 대부분 임시직이나 일용직 아니면 생계형 자영업으로 살고 있는 경우가 70% 이상이다. 그동안 직장에서 쌓은 20~25년 이상의 지식과 경험이 아깝기도 하다. 그래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들에 대한 활용방안을 더욱 고민해야 한다. 이들이 가진 값진 경험이 8~9%에 이르는 청년실업률 뉴스에 묻혀서는 안 된다. 전체 인구의 15%에 이르는 그들의 비중이 이미 사회적 이슈인 것이다. 정부와 대기업이 나서 이들이 갖고 있는 경험과 노하우를 산업현장이나 사회 각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할 때다.
높은 출산율 속에 태어난 이들은 더욱 치열한 경쟁을 하면서 삶을 살아와야 했다. 경제발전에 중심적인 역할도 하면서, 또 온갖 격변을 겪으면서 살아왔지만 어느덧 은퇴를 했거나 은퇴를 쬑은 이들이다. 사회가 급변하면서 이미 퇴물 취급을 받기도 한다. 부모를 부양하고 자식을 위해 헌신했지만 이제 자녀로부터의 부양은 기대할 수 없는 첫 세대이기도 하다. 앞으로 몇 년 간 계속 사회로 쏟아져 나올 이들 베이비부머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