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과 민주성 기반으로
실현가능한 교육시스템 구축”
교육 발전방안 공동추진 약속
‘416교육체제’ 전환 선포
전국 시·도 교육감 14명이 세월호 참사를 교훈 삼아 새로운 교육을 만들겠다고 함께 약속하고 다짐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전국 14개 시·도교육청 교육감은 세월호 참사 2년을 맞아 20일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대강당에서 열린 ‘새로운 교육 전환을 위한 선포식’에서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교육감들은 공동선언문에서 “입시와 경쟁의 교육에서 벗어나 아이들을 살리고 공동체로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을 하겠다”며 “공공성과 민주성을 기반으로 실현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교육을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 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한국 사회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해 교육의 질적인 발전방안을 공동 연구하고 정책을 세워 추진하겠다”고도 약속했다.
공동선언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반성과 성찰에서 비롯됐다.
특히 “세월호 참사가 왜 일어나게 됐는지,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통스럽게 성찰해야 할 것”이라며 “새로운 희망을 만들고 실천해야 우리 교육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시대적 책무와 과제에 대한 소임을 다할 수 있을 것”이라는 다짐도 담았다.
경기도교육청이 제안한 공동선언에는 전국 교육감 17명 가운데 서울·인천·광주·대전·부산·세종·강원·충북·충남·제주·전북 등 14명이 참여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기억을 넘어 희망을 만들겠습니다’를 주제로 ‘416교육체제’(가칭) 연구결과(360쪽)를 발표하고 ‘새로운 교육체제 전환을 위한 선포식’을 했다.
‘행복한 배움으로 특별한 희망을 만드는 공평한 학습사회’를 비전으로 한 416교육체제는 206개 세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이재정 교육감은 “416 이전과 이후의 교육은 달라야 한다”며 “416은 새로운 교육체제를 향한 명령이자 혁명의 시작으로 근본부터 성찰하고 기억을 넘어 희망을 만드는 길에 함께 해달라”고 요청했다.
선포식에는 이 교육감 이외에 조희연(서울), 최교진(세종), 장휘국(광주), 민병희(강원) 등 교육감 5명이 참석해 ‘우리 교육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대담을 나눴다.
이들 교육감은 모두 학교민주주의, 학생인권, 학생자치권 등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조 교육감은 특히 “공동체적이고 주체적인 인간형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영우 안산고교학생회연합회장, 강연선 이우학교 학부모, 곽순 단원고 교사가 교육주체 대표로 미니연설을 했다.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 등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 5명, 유인종·곽노현 전 서울교육감 등 600여명 참석해 선포식을 지켜봤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