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아침시산책]숨바꼭질

숨바꼭질

                                   /이주희



아이가 숨는 곳은 늘 빤하다

보자기만 한 틈서리로 비집고 들어간 다음

얼굴만 가구나 물건 뒤로 감추고는

등이 보이건 엉덩이가 드러나건 상관없이

대장님 어디 있나? 우리 대장님 어디 있나? 연발한다



나는 안 보이는 척, 안 들리는 척

대장님 어디 갔을까? 정말 안 보이네

맞장구쳐준다



아이는 까꿍 하며 튀어나와서는

한껏 의기양양해져서

비 그친 하늘의 햇덩이 같은 웃음을 터트린다



- 이주희 시집 ‘마당 깊은 꽃집’/푸른사상·2016

 



 

빙그레 웃음이 나온다. 아이와 어른과의 숨바꼭질은 아이가 기준이다. 아이들은 언제나 진지하고 최선을 다한다. 쫓기다가도 구멍에 얼굴 파묻고 완전히 숨은 줄 아는 타조처럼 아이도 눈이 안보이면 모두 안 보이는 것이다. 현상의 이면은 보이지 않는다. 성장해 가면서 내면의 빈 곳을 채워가지만 아이가 보는 세계는 눈에 보이는 딱 그만큼이다. 그것도 스스로 잘 숨었다고 자부하며 ‘튀어나와 햇덩이 같은 웃음’을 웃는 천진함. 순수하고 아름답다. 그래서 우리는 자주 동심으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 /성향숙 시인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