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김포신도시내 마송지구 개발을 추진하면서 형식적인 조사와 전문 연구기관의 결과보고를 무시한 채 사전환경성검토를 통과시켜 시민단체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17일 환경정의등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환경부는 건교부와 투지공사가 신도시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김포 마송지구에 대해 사전환경성 검토를 전격 통과시켰다.
그러나 환경부는 사전환경성 검토 과정에서 형식적인 조사와 허위데이터를 근거로 개발영향을 축소 보고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환경정의는 건교부와 환경부가 지난 2002년부터 환경성 검토를 4차례나 실시하면서 택지개발로 파괴될 철새서식지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현장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채 인용자료만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환경파괴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개발영향이 없다고 결론내린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한국환경정책평가원구원은 지난 3일 한강하구 보존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김포를 포함한 한강하구는 1. 2등급으로 무조건 보존돼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환경부는 연구결과를 무시한 채 김포 마송지구 사전환경성 검토를 전격 통과시켰다. 건교부 역시 걸포동과 송포동을 잇는 일산대교, 48번국도, 김포 누산리-마근과 운양동-하성리 도로확장을 추진하는 등 각종 개발로 인해 환경파괴를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정의는 오늘 김포 신도시 사전환경성 검토 졸속처리에 대한 규탄집회를 갖고 환경부를 사업당국에 고발할 방침이다.
박종숙 환경정의 간사는 “환경부는 개발부처의 눈치만 보며 스스로 책임을 방기하고 있다”며 “사전환경성 검토를 다시 실시하는 한편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