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이 활짝
/송찬호
마침내 사자가 솟구쳐 올라
꽃을 활짝 피웠다
허공으로의 네 발
허공에서의 붉은 갈기
나는 어서 문장을 완성해야만 한다
바람이 저 동백꽃을 베어물고
땅으로 뛰어내리기 전에
- 송찬호 시집 ‘붉은 눈, 동백’ / 문학과지성사
꽃잎이 하나씩 떨어지지 않고 통째로 떨어지는 모습이 마치 충신이 간언하다 목이 떨어지는 것과 같다 하여 충신을 상징하는 꽃이라 한다. 참수 당한 모가지처럼 뚝 뚝 떨어진다하여 비감한 감정으로 바라보던 동백이다. 시인은 소극적 간언으로 그치던 꽃에 사자를 불러온다. 맹수의 제왕 사자를 동백에 불러 어떤 문장을 완성하고자 한 것일까. 어지러운 세상 사자처럼 포효하는 기상을 불러 동백의 이름을 현대적으로 다시 고쳐 부르고 있다. 이제 동백은 시인으로 해서 새로운 발톱과 이빨과 용맹한 기상을 얻었다. 포효하는 이 문장의 완성을 기대해 본다. /조길성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