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마당에 두 야당이 대형 악재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서영교 의원의 가족채용 논란으로, 국민의당은 홍보비 의혹 수사로 휘청이는 모습이다.
먼저 서 의원의 경우 자신의 동생을 비서관으로 채용했던 데 이어 딸을 인턴으로 일하게 하고 인건비를 지급한 사실이 드러났다. 여기에 오빠를 후원회 회계책임자로 일하게 하면서 역시 인건비를 지급한 사실도 알려졌고, 석사학위 논문표절 논란에다가 보좌관의 월급을 후원금으로 받은 일도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이런 내용들이 알려지자 국회의원의 대표적인 갑질 행태라는 비판이 쏟아지면서 더민주 전체를 흔들어 놓는 사안으로 커져버렸다.
국민의당의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 서 의원의 경우야 개인적인 일탈이라고 할 수 있지만, 국민의당 홍보비 관련 의혹은 당이 관련되어 있는 사안이 되고 있다. 이미 왕주현 사무부총장은 구속되었고 김수민-박선숙 두 현역 의원이 검찰 조사를 받았다. 당초 국민의당은 문제의 TF는 당조직이 아니었으며 당과는 관련없는 문제라고 했지만, 검찰수사는 국민의당 전체를 흔들어놓고 있다. 급기야는 관련 당사자들에 대한 조치 문제를 넘어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가 사퇴하는 상황으로까지 치달아 버렸다.
이런 일들은 사실 정당에서는 언제든지 생겨날 수 있는 일들이다. 친인척을 보좌진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꼭 서 의원뿐 아니라, 다른 의원들도 더 있었을 법 하다. 홍보물 제작을 누구에게 어떤 계약방식으로 맡기든, 그것까지 정밀하게 들여다보지 않던 기존 환경에서는 국민의당의 일도 특별한 것은 아니었을 수 있다. 정치에 적용하는 국민의 도덕적 잣대가 계속 높아져가고 있음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면 이런 사고들은 언제든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정당은 그러한 개인들의 일탈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통제하고 예방하며, 일단 문제가 발생하면 엄정하게 대처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렇지 않고 그저 개인들의 문제라고 방치한다면 정당이라는 조직의 존립 이유를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사안들에 대한 두 야당의 대처는 대단히 미흡함을 드러냈다.
더민주가 서 의원의 문제를 인지한 것은 이미 오래된 일로 알려졌다. 4·13 총선 공천 당시에도 이런 문제들 때문에 공천이 잠시 보류되었다가 이런저런 현실론 속에서 결국 공천을 주었다는 것이다. 서 의원의 문제는 한 가지만이 아니라, 여러 문제들이 아무런 자기 통제없이 계속 진행되었던 특별한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런데도 공천을 주었다는 것은 더민주라는 정당의 도덕적 둔감증을 드러내는 일이기도 하다. 결국 뒤늦게야 당무감사를 하고 당 대표가 사과를 하는 상황을 자초했던 셈이다.
국민의당이 홍보비 의혹에 대처했던 모습은 역시 더 심각해 보였다. 국민의당 지도부는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채 계속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선관위가 고발한 직후 안철수 대표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그때까지 안 대표 자신도 진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얘기가 된다. 그런가 하면 이상돈 진상조사단장은 “당에 돈이 들어온 게 없다”면서 “검찰이 기소하면 망신당할 것”이라고까지 했다. 사태 초기에 국민의당 지도부는 아무런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결국 검찰수사를 거치면서 상황이 반전되고 만 것이다. 정말로 법적인 문제가 있었던 건지에 대한 법리적 판단은 최종적으로 법원에서 내려질 일이다. 하지만 국민의당은 진작에 전모를 소상하게 확인한 뒤, 국민에게 모든 것을 밝히고 국민의 판단을 구하는 길을 택했어야 했다. 안이한 대처가 당 전체를 위기로 몰아넣는 화를 키운 셈이다.
여소야대의 20대 국회이기에 두 야당의 불안한 출발이 염려된다. 빨리 내부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야당들이 본연의 제 역할을 다하기 바란다.